매일신문

美 긴축 장기화 우려에…원·달러 환율 1천300원 육박

미국발 물가 지표 예상치 웃돌아…장중 한때 1303원까지 오르기도

17일 서울 중구 하나은행 본점 딜링룸 현황판에 코스피, 원/달러 환율, 코스닥 지수가 표시돼 있다. 이날 코스피는 전거래일보다 24.27포인트 하락한 2,451.21로, 코스닥 지수는 9.09포인트(1.16%) 내린 775.62로 마감했다. 원/달러 환율은 전장 대비 14.7원 오른 1,299.5원으로 마쳤다. 연합뉴스
17일 서울 중구 하나은행 본점 딜링룸 현황판에 코스피, 원/달러 환율, 코스닥 지수가 표시돼 있다. 이날 코스피는 전거래일보다 24.27포인트 하락한 2,451.21로, 코스닥 지수는 9.09포인트(1.16%) 내린 775.62로 마감했다. 원/달러 환율은 전장 대비 14.7원 오른 1,299.5원으로 마쳤다. 연합뉴스

미 연방준비제도(Fed·연준) 긴축이 장기화할 것이란 우려가 나오면서 원·달러 환율이 뛰었다.

17일 서울 외환시장에서 달러 대비 원화 환율은 14.7원 오른 1천299.5원에 장을 마감했다. 낮 12시 1천303.8원까지 상승하는 등 장중 한때 1천300원선을 넘어서기도 했다. 환율이 1천300원을 넘어선 건 장중 고가 기준으로 작년 12월 20일(1천305.00원) 이후 두 달 만의 일이다.

이처럼 환율이 오른 건 미국의 인플레이션(물가 상승)이 예상과 달리 빠르게 안정되지 않고 있다는 우려 탓이다. 여기다 연준 위원들이 통화 긴축을 예고하는 발언을 쏟아낸 것도 상승 요인으로 작용했다.

실제 미국 물가를 나타내는 각종 지표가 오름세다. 미국 노동부가 밝힌 1월 생산자물가지수(PPI)는 전월보다 0.7%, 전년 동월보다 6.0% 각각 올랐다. 지난달 소비자물가지수(CPI) 상승률도 전년 동월에 비해 6.4% 상승, 시장 예상치(6.2%)를 넘어섰다. 미국 인프레이션이 빨리 진정되지 않을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는 것도 이 때문이다.

연준 위원인 로레타 메스터 클리블랜드 연방준비은행(연은) 총재는 이달 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를 두고 "당시 0.5%포인트 인상 속도를 유지하는 게 설득력이 있다는 경제적 사실들을 봤다"는 긴축 기조 유지 발언을 내놓기도 했다.

그나마 환율이 더 치솟지 않은 건 외환 당국이 구두 개입했기 때문이다. 기획재정부 관계자가 이날 환율의 움직임이 과도하다고 밝힌 이후 환율이 1천300원 아래로 떨어졌다. 당국 개입에 대한 경계감으로 오후 장에서 추가 상승세가 제한됐다는 해석이 나온다.

대구상공회의소 관계자는 "미국 소비자물가가 아직 안정되지 않았다는 소식에 미국 금리가 추가 인상될 거란 전망이 나오는 형편"이라며 "경기 침체가 장기화할 것이란 우려 속에 안정자산으로 분류되는 달러화가 강세를 띠는 것"이라고 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