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조폭, 학폭, 주폭 그리고 '건폭'…표현 왜?

홍보수석 등 대통령실, 건설현장 불법행위 '건폭'으로 표현
검경 합동 '건폭수사단'도 출범도

윤석열 대통령이 21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열린 국무회의에서 개회선언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윤석열 대통령이 21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열린 국무회의에서 개회선언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대통령실이 건설현장 불법 행위를 '건폭'이라는 줄임말로 표현, 그 배경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대통령실은 이날 김은혜 홍보수석 서면 브리핑과 보도자료, 대통령실 관계자 브리핑 등을 통해 '건폭'이라는 표현을 사용, 윤석열 대통령이 직접 언급한 용어인지 대통령실이나 정부 관계 부처가 단속의 강력한 의지를 담기 위해 사용한 것인지 궁금증을 낳고 있다.

윤 대통령은 이날 용산 대통령실에서 주재한 국무회의 모두발언에서 "아직도 건설현장에서는 강성 기득권 노조가 금품 요구, 채용 강요, 공사 방해와 같은 불법행위를 공공연하게 자행하고 있다"면서 엄정 조치를 지시했다.

이후 김은혜 홍보수석은 '윤석열 대통령, 건폭 특별단속 지시 관련 서면 브리핑'이라는 언론 공지를 했고, 대통령실이 배포한 보도자료에도 '윤석열 대통령, 건폭 특별 단속 지시'라는 제목을 달았다.

이날 오후 진행된 대통령실 관계자의 브리핑 때 '건폭'이라는 줄임말을 사용한 의미를 묻는 질문에 "문제의 심각성을 표현하기 위해 건폭이라는 용어가 사용된 거 같다"고 답하기도 했다.

사안의 심각성을 부각시키기 위해 '건폭'이라는 표현을 사용했을 것이라는 추측이 나오는 가운데 너무 자극적인데다 '건폭도 조폭(조직폭력)과 학폭(학교폭력) 등 처럼 때려잡겠다는 것이냐' 등 조폭과 같은 선상에 놓는 것은 과한 것 아니냐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대통령실은 이날 '관계부처 합동 종합대책' 보고 후 건설현장의 불법 행위를 근절하기 위해 검찰과 경찰의 협력을 바탕으로 이른바 '건폭수사단'을 출범한다고 발표, '조폭수사'를 연관시키는 듯 한 늬앙스를 풍기기도 했다.

이와 관련 대통령실 관계자는 "건폭이라는 표현이 어떻게 사용됐고 누가 먼저 사용했는지 확인해보겠다"고 말했다.

한편 윤 대통령은 이날 국무회의에서 비공개 발언을 통해 "올해 해야 하는 가장 중요한 일은 헌법의 근본 질서를 바로 세우는 것"이라고 말했다고 이도운 대변인이 전했다.

이 대변인에 따르면 윤 대통령은 "자유시장경제라는 헌법의 근본 질서를 지키지 못하면 경제 발전은 물론 기업의 가치도 제대로 평가받을 수 없다"며 "노조가 정상화돼야 기업의 가치가 올라가고, 자본시장도 발전하며, 수많은 일자리도 생겨날 수 있다"고 말했다.

윤 대통령은 국민, 특히 젊은층을 위해 공정 경쟁이 이뤄지도록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윤 대통령은 "국민들이 힘들게 노력해 이룩한 자본주의 시장경제를 지키기 위해서라도 공정한 경쟁이 실현돼야 한다"며 "노조의 기득권은 젊은 사람들에게 미래에 대한 희망을 포기하게 만드는 약탈 행위"라고 지적했다.

노조답고 사업주다운 시장경제 시스템의 중요성·필요성도 역설했다.

윤 대통령은 "노조는 노조답고, 사업주는 사업주다운 제대로 된 시장경제 시스템을 만들어야 된다"며 " 기업이나 산업에 엄청난 영향을 미치는 노조의 회계 투명성이 뒷받침되지 않고 부패하게 되면 기업의 납품 시스템 등 기업 생태계 시스템이 모두 왜곡되기 때문에 철저하게 출처와 용처를 파악해야 한다"고 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