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1월 경제고통지수 역대 최고…물가 상승 고용 불안 겹쳐

김회재 더불어민주당 의원 통계청 자료 분석
경제고통지수 전년 대비 1.1p 상승
실업률 내리고 물가 상승률은 올라

물가 상승과 고용 불안으로 지난 1월 경제고통지수가 같은 달 기준 역대 최고를 기록한 가운데 22일 오후 서울 마포구 망원시장에서 시민들이 장을 보고 있다. 실업률과 소비자 물가 상승률을 더해 구하는 경제 고통 지수는 지난달 8.8로 집계돼 1999년 6월 실업률 집계 기준 변경 이래 1월 기준으로 가장 높았다. 연합뉴스
물가 상승과 고용 불안으로 지난 1월 경제고통지수가 같은 달 기준 역대 최고를 기록한 가운데 22일 오후 서울 마포구 망원시장에서 시민들이 장을 보고 있다. 실업률과 소비자 물가 상승률을 더해 구하는 경제 고통 지수는 지난달 8.8로 집계돼 1999년 6월 실업률 집계 기준 변경 이래 1월 기준으로 가장 높았다. 연합뉴스

지난달 경제고통지수가 역대 최고 수준을 기록했다. 물가 상승과 고용 불안이 겹친 탓이다.

22일 김회재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통계청 자료를 분석한 결과 지난달 경제고통지수는 8.8로 집계됐다. 지난달 실업률이 3.6%로 1년 전보다 0.5%포인트(p) 내렸지만 물가 상승률이 5.2%로 1.6%p 오르면서 경제고통지수가 1.1p 상승했다.

이는 1999년 6월 실업률 집계 기준 변경 이래 1월 기준으로 가장 높은 수치다. 종전 최고 기록은 2010년 1월(8.5)이었다. 당시 실업률은 물가 상승률(3.5%)보다 높은 5.0%였다.

경제고통지수는 미국의 경제학자 '아서 오쿤'이 고안한 지표로, 실업률과 소비자 물가 상승률을 더해 구한다. 통상 1월에는 고등·대학교 졸업생들이 취업시장에 뛰어들고 건설 현장 일감도 줄어 실업률이 높게 나타난다.

지난달 경제고통지수를 지역별로 보면 강원(13.2)이 가장 높았고 이어 인천(9.9), 경남·전남(9.7), 충북·대구(9.6), 울산(9.4), 충남(9.0), 경북(8.9), 전북(8.7), 부산·서울(8.5), 대전(8.4), 제주(8.1), 경기·광주(7.9) 순이었다.

전체 월간 경제고통지수는 작년 7월(9.2)에 가장 높았고, 2001년 2·3월(각 9.1), 작년 6월·2008년 7월·2001년 5월(각 9.0), 2001년 4월(8.9) 등이 뒤를 이었다.

김 의원은 "정부는 서민과 중산층 민생을 위한 '고물가 폭탄'을 해결하는 데 역량을 모아야 한다"고 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