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조례없이 행정통합 공감대 만든다" 안동시, '안동 행정통합추진 지원 조례' 상정요구 않기로

예천반발 부담 안동시의회 내부 엇갈린 분위기 고려 결정
통합추진위측, "선거구 조정 등 앞두고 정치권 몸사리기"

안동시가 행정구역통합 추진 활동을 지원하기 위해 제정에 나섰던 조례가 사실상 백지화되면서 안동지역 통합추진위를 비롯해 시민사회단체들의 순수 민간차원의 범시민운동이 추진된다. 사진은 안동시가 마련했던 안동예천 상생발전 주민토론회 모습. 매일신문DB
안동시가 행정구역통합 추진 활동을 지원하기 위해 제정에 나섰던 조례가 사실상 백지화되면서 안동지역 통합추진위를 비롯해 시민사회단체들의 순수 민간차원의 범시민운동이 추진된다. 사진은 안동시가 마련했던 안동예천 상생발전 주민토론회 모습. 매일신문DB

안동·예천 행정구역 통합문제가 안동시 예산 지원 없이 순수 민간차원에서 추진된다.

안동시가 행정구역 통합 추진 단체 활동에 예산을 지원할 수 있는 근거를 마련하기 위해 제정에 나섰던 '안동 행정구역통합 추진 지원조례'가 사실상 백지화됐기 때문이다.

22일부터 임시회를 열고 있는 안동시의회는 지난 회기 심의 보류했던 조례를 이번 회기에서도 상정하기 않기로 했다. 권기창 안동시장과 충분한 협의를 거쳐 조례를 꺼내지 않기로 했다는 것이다.

예천지역 반발이 심해지면서 이를 부담스러워하는 안동지역 정치권의 입장과 찬·반 의견이 엇갈린 안동시의회 내부 기류를 의식해 권 시장이 더 이상 조례 제정을 고집할 수 없었을 것이라는 해석이다.

이에 따라 '안동·예천 행정구역통합 도청신도시 추진위', '예천지역 행정구역통합 공론화추진위'와 더불어 기존 안동지역 행정구역 추진 단체를 비롯해 안동지역 시민사회단체들이 조만간 범시민추진위를 출범시키고 순수 민간차원의 활동에 나설 것으로 보인다.

이를 두고 지역에서는 안동지역 정치권을 강하게 비판하고 있다. 군위군이 대구시로 편입되면서 '안동·예천 선거구' 분구가 현실화되고 있는 상황에서 선거구 합구의 중요한 이유가 됐던 '안동과 예천의 상생' 문제를 정치권이 외면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미 예천지역에서는 군수와 도의원 등이 직접 나서 통합반대를 외치고, 군의원들이 자유발언을 통해 통합반대하는 등 선거구 조정에서 안동과 갈라질 것을 기정사실화하는 분위기에서 안동지역 정치권이 예천의 눈치를 살필 이유가 없다는 주장이다.

지역의 한 인사는 "김형동 국회의원이나 시의원들이 안동·예천 행정통합에 대한 명확한 찬성 입장으로 범시민운동에 힘을 보태면 오히려 자신들의 정치 행보에 큰 도움 될 것"이라며 "지금처럼 특별한 이슈가 없다면 안동·예천의 선거구 분구는 불 보듯하다"고 우려했다.

안동·예천 단일선거구를 만드는데 결정적 역할을 했던 문상부(영가회장) 전 중앙선거관리위원도 역사와 문화적 동질성, 지역균형발전 등 안동·예천 동일선거구 유지 의견을 밝히면서 "선거구가 분리될 경우 주민운동으로 한창인 행정통합에 찬물을 끼얹게 될 것"이라며 행정통합 추진이 선거구 유지 이유임을 밝히고 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