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강기정 "민주·자주독립의 길, 대구도 광주도 늘 하나였다"

28일 대구문화예술회관에서 열린 제63주년 2·28민주운동 기념식에서 2·28민주운동에 참여한 고교의 후배들이 기념공연을 하고 있다. 2·28민주운동 기념식은 지난 2018년 국가기념일로 지정된 이후 정부 기념식으로 격상되었고, 매년 보훈처가 주관해 행사를 진행하고 있다. 정운철 기자 woon@imaeil.com
28일 대구문화예술회관에서 열린 제63주년 2·28민주운동 기념식에서 2·28민주운동에 참여한 고교의 후배들이 기념공연을 하고 있다. 2·28민주운동 기념식은 지난 2018년 국가기념일로 지정된 이후 정부 기념식으로 격상되었고, 매년 보훈처가 주관해 행사를 진행하고 있다. 정운철 기자 woon@imaeil.com
28일 대구문화예술회관에서 열린 제63주년 2·28민주운동 기념식에서 2·28민주운동에 참여한 고교의 후배들이 기념공연을 하고 있다. 2·28민주운동 기념식은 지난 2018년 국가기념일로 지정된 이후 정부 기념식으로 격상되었고, 매년 보훈처가 주관해 행사를 진행하고 있다. 정운철 기자 woon@imaeil.com
28일 대구문화예술회관에서 열린 제63주년 2·28민주운동 기념식에서 2·28민주운동에 참여한 고교의 후배들이 기념공연을 하고 있다. 2·28민주운동 기념식은 지난 2018년 국가기념일로 지정된 이후 정부 기념식으로 격상되었고, 매년 보훈처가 주관해 행사를 진행하고 있다. 정운철 기자 woon@imaeil.com
28일 대구문화예술회관에서 열린 제63주년 2·28민주운동 기념식에서 2·28 민주운동 참여자와 유족, 시민 등이 참여한 가운데 2·28 찬가를 제창하고 있다. 2·28민주운동 기념식은 지난 2018년 국가기념일로 지정된 이후 정부 기념식으로 격상되었고, 매년 보훈처가 주관해 행사를 진행하고 있다. 정운철 기자 woon@imaeil.com
28일 대구문화예술회관에서 열린 제63주년 2·28민주운동 기념식에서 2·28 민주운동 참여자와 유족, 시민 등이 참여한 가운데 2·28 찬가를 제창하고 있다. 2·28민주운동 기념식은 지난 2018년 국가기념일로 지정된 이후 정부 기념식으로 격상되었고, 매년 보훈처가 주관해 행사를 진행하고 있다. 정운철 기자 woon@imaeil.com
강기정 광주광역시장 페이스북
강기정 광주광역시장 페이스북

강기정 광주광역시장이 28일 대구에서 개최된 2·28 민주운동 기념식을 찾은 후 소감을 밝혔다.

강기정 시장은 이날 오후 2시 20분쯤 페이스북에 글을 올려 우선 "기념식이 한편의 뮤지컬이었다"고 칭찬했다.

이어 "1960년 2.28민주운동은 반독재 민주화운동이었고, 1929년 11.3광주학생운동은 반일 자주독립운동이었다"고 두 지역의 민중 운동을 소개, "민주와 자주 독립의 길에는 대구도 광주도 늘 하나였던 것"이라고 의미를 부여했다.

이날 대구문화예술회관 팔공홀에서는 '자유를 그리다'라는 주제로 63주년 2·28 민주운동 기념식이 열렸다.

강기정 시장을 비롯해 한덕수 국무총리, 홍준표 대구시장, 2·28 민주운동 참여자 및 유족, 그리고 2·28 민주운동에 참여한 고등학교들의 후배 학생 등 600여명이 운집했다.

이런 가운데 강기정 시장은 기념공연이 뮤지컬과 춤, 밴드 공연 등의 형식으로 구현된 것을 가리켜 "한편의 뮤지컬이었다"고 소감을 밝힌 것으로 보인다.

28일 대구문화예술회관에서 열린
28일 대구문화예술회관에서 열린 '제63주년 2·28 민주운동 기념식'에서 강기정 광주시장(맨 왼쪽)을 비롯해 한덕수 국무총리, 우동기 국가균형발전위원장, 강은희 대구시교육감, 홍준표 대구시장 등이 2·28찬가를 제창하고 있다. 정운철 기자 woon@imaeil.com

2·28민주운동은 정·부통령 선거를 앞두고 있던 1960년 2월 28일, 자유당 정권이 야당 부통령 후보였던 장면 후보의 유세장에 학생들이 참석하는 것을 막기 위해 일요 등교 지시를 내리자, 학생들이 항거하며 일으켰다.

대구 지역 8개 공립학교(경북고, 경북대사대부고, 경북여고, 대구고, 대구공고, 대구농고, 대구상고, 대구여고) 학생들이 주도했고, 이후 대구 지역 언론과 시민들의 지지를 받으며 전국으로 확산, 대전 3·8민주의거, 마산 3·15의거, 그리고 4·19혁명의 도화선이 됐다는 평가를 받는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