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데스크칼럼] 축제도 자생력이다

전창훈 문화체육부장

전창훈 문화체육부장
전창훈 문화체육부장

팬데믹 상황이 호전되면서 올해 가장 기대되는 것 중 하나가 '지역축제'다. 지난해부터 시작된 해외여행 열기 못지않게 올해 축제는 절정을 이룰 것으로 전망된다. 이른바 '보복 여행'에 이은 '보복 축제'가 봇물 터지듯 펼쳐질 것 같다.

문화체육관광부에 따르면 올해 계획된 전국의 지역축제는 대구 39개, 경북 85개를 포함해 모두 1천129개로 조사됐다. 이는 2022년 944개(대구 38개, 경북 77개)와 비교해 약 19.6% 늘어난 수치다.

축제에 대한 사람들의 참여도 어느 해보다 높을 것으로 예상된다. '문화관광축제 빅데이터' 분석 결과를 보면 지난해 개최된 21개 축제의 방문객 수는 팬데믹 이전(2019년) 대비 19.7% 증가했다. 올해는 방역 해제가 이뤄지는 만큼 참여도는 더욱 높을 것이다.

대구에서도 5월 12~14일 지역 대표 시민축제인 '파워풀대구페스티벌'(이하 파워풀축제)이 열린다. 특히 올해는 '관 주도 축제의 민간 이양 확대'라는 대구시의 정책 방향에 따라 대구예술문화단체총연합회가 처음으로 운영을 맡았다.

민간 이양은 축제 운영의 패러다임 변화를 예고하고 있다. 대구시 예산뿐 아니라 운영 주체가 재원이 들어올 파이프라인을 다양하게 마련해야 한다는 시대적 요구도 담고 있다.

파워풀축제(옛 컬러풀대구페스티벌)는 2005년부터 매년 대구시로부터 전액 지원을 받아 열리고 있다. 이런 구조 때문에 지자체장이 바뀌어 정책 기조가 변화하거나 경기 상황 등에 큰 영향을 받게 마련이다. 대외 변수에 그만큼 취약해질 수밖에 없는 것이다. 파워풀축제는 지난해 컬러풀에서 파워풀로 축제명이 변경됐고, 예산은 지난해 20억 원에서 올해 18억 원으로 10% 깎였다.

지자체 예산에 의존하는 구조는 비단 대구만의 문제는 아니다. 지역축제 재원 부담의 주체가 지자체 예산인 경우가 전체의 약 90%라는 조사 결과도 있다.

이렇게 되니 축제의 안정성과 지속 가능성을 담보할 수 없다. 지역축제 중 30년 넘게 이어오는 축제는 전체의 7%가 안 되고 10년이 채 안 되는 축제가 64%에 이른다는 통계가 이를 뒷받침한다.

결국 다양한 재원 마련을 통해 자생력을 기르는 것만이 살길이다. 예를 들어 '유료화'나 '기부' 등을 들 수 있다.

웬만한 축제는 무료라는 인식이 여전해 '유료화'가 조심스럽기는 하다. 그러나 이미 상당수 지역축제가 입장료 부과나 부분 유료화 등을 통해 수익 창출을 하고 있다. 유료화는 축제의 '이름값'과도 상관관계가 높다. 국내외적으로 유명 축제는 유료화가 정착돼 있다.

진주남강유등축제의 경우 2015년 유료화를 처음 시행할 당시 불만과 비판이 심했다. 하지만 가림막 철거와 주중 지역 주민 무료 입장 등 다양한 조치를 통해 지역 주민들의 반감을 최소화했고 유료화를 성공시켰다. 2015년 첫 유료화를 시도한 부산불꽃축제도 유료화를 정착시킨 축제로 꼽힌다. 독일의 잘츠부르크 뮤지컬 페스티벌은 시민들의 참여도가 높으면서 기부가 축제 재원의 큰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이성욱 대구 달서아트센터 관장은 "축제 콘텐츠도 예술인들의 노력과 기획자들의 아이디어가 곳곳에 들어간 만큼 일정 부분의 비용을 지불하는 체계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선결 조건은 있다. 중·장기적 관점에서 수요 조사부터 시민들의 의견을 충분히 듣고 반영하는 등 구체화 작업이 이뤄져야 한다. 또한 자체 재원 마련에 성공한 축제들을 벤치마킹하는 노력도 필요하다. 30년, 50년 지속 가능한 축제를 위한 고민을 시작해야 한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