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GPT-4 활용에 필수"…정부 'AI 조련사' 교육과정 신설 검토

AI에게 더 나은 결과물을 도출하도록 새로운 직업 '프롬프트 엔지니어'
소프트웨어 설계에 정통한 고급 개발자 수요 높아질 전망
과기정통부 "인재육성 필수, 교육과정 정책 연구를 통해 다듬어야 할 것"

챗GPT의 활용성이 높아짐에 따라 생성 인공지능(AI)에서 더 나은 결과물을 도출하도록 직업
챗GPT의 활용성이 높아짐에 따라 생성 인공지능(AI)에서 더 나은 결과물을 도출하도록 직업 '프롬프트 엔지니어'가 주목받고 있다. 오픈AI 제공

인공지능 시대가 배출한 첫 번째 새로운 직업이 탄생했다. 챗GPT의 활용성이 높아짐에 따라 생성 인공지능(AI)에서 더 나은 결과물을 도출하도록 직업 '프롬프트 엔지니어'가 주목받고 있다.

프롬프트 엔지니어란 AI가 사실에 더 가까운 답변을 내놓도록 다양한 목적의 명령어(프롬프트)를 만들어 입력하고 테스트하는 일을 하는 즉 'AI 조련사'라고 할 수 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16일 AI가 최상의 결과물을 낼 수 있도록 AI에 지시하고 AI와 대화하는 프롬프트 엔지니어 육성을 위한 교육과정 신설을 검토 중이라고 밝혔다.

교육과정은 목표한 결과를 얻기 위해 생성 AI에 어떠한 질문을 던지고 질문 과정을 다듬어야 하는지 등의 방법론을 교육·전수한다.

프롬프트 엔지니어가 주목받기 시작한 것은 최근 챗GPT 개발사 오픈AI 출신들이 만든 미국의 AI 스타트업 앤스로픽은 최근 프롬프트 엔지니어를 구인하면서 연봉 약 4억4천만 원(33만5천 달러)을 제시하면서다. 국내에서도 뤼튼테크놀로지스가 최대 1억원 연봉을 내걸고 공개 채용에 나섰다.

프롬프트 엔지니어 업무는 코딩 능력보다는 생성 AI 사용 경험과 논리적, 언어적 관점에서 AI와 잘 대화할 수 있는 능력이 중요한 것으로 알려졌다. 뤼튼테크놀로지스도 프롬프트 엔지니어를 뽑으면서 경력이나 코딩 실력을 보지 않고 채용하고 있다.

과기정통부는 생성 AI가 보급되면서 개발자가 하던 단순·반복적인 작업이 AI에 의해 대체될 것으로 예상되기에 소프트웨어 설계에 정통한 고급 개발자 수요는 높아질 것으로 보고 있다. 앞으로 과기정통부는 단순한 프로그램 언어 교육이 아니라 설계, 모듈 간 통합 등에 필요한 논리적 사고력 향상을 향후 집중적으로 지원할 방침이다.

과기정통부 관계자는 "인공지능이 최상의 결과물을 내려면 AI 인재 육성이 꼭 필요하다"며 "교육과정을 대학 등 학교에 교육 내용·기간, 민간 활용 연계 방식 등은 정책 연구를 통해 다듬어야 할 것이다"고 설명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