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글이 챗GPT의 대항마로 '바드'를 출시하며 기대감을 한 몸에 받고 있다. 구글은 21일(현지 시각) 대화형 인공지능(AI) 바드(Bard)를 출시한다고 밝혔다.
구글은 지난달 6일 바드를 출시 예고했고 한 달 반 만에 블로그를 통해 오픈 소식을 알렸다. 바드는 미국과 영국 일부 이용자들을 대상으로 서비스를 시작한 후 더 많은 국가와 언어로 이용할 수 있도록 확장될 계획이다.
구글은 지난달 출시 예고 당시 외부 제한된 이용자들과 회사 직원들에게 피드백을 받고 수정을 거쳐왔다. 구글은 미국과 영국의 제한된 이용자들에게 구글 계정 로그인을 통해 바드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고 피드백을 받는다고 설명했다.
구글은 지난 출시 당시 문제점으로 꼽혔던 대화가 길어지면 대화형 AI가 제어가 안 되는 답을 내놓는 것에 관해서는 보호 장치를 마련하고 있고 대화 횟수를 제한하는 것으로 보완했다.
이 밖에도 구글은 검색 서비스 외에 유튜브에도 AI 기능을 탑재하는 등 모든 주요 제품에 생성형 AI를 탑재할 예정이다.
이로써 구글의 바드와 마이크로소프트(MS)의 챗GPT AI챗봇 경쟁이 본격화될 전망이다. 챗GPT 개발사 오픈AI를 등에 업은 MS는 앞서 새로운 검색 엔진 '빙'(Bing)을 출시한 데 이어 엑셀과 파워포인트, 워드 등 사무용 소프트웨어 오피스 365에도 생성형 AI를 탑재한다고 밝혔다.
오픈AI는 기존의 챗GPT에 적용된 GPT-3.5보다 업그레드한 대규모 AI 언어 모델(LLM)인 GPT-4를 출시했으며, MS는 한층 더 업그레이드된 이 생성 AI를 탑재할 계획이다.
구글은 "바드를 이용함으로써 생산성을 높이고 많은 아이디어를 내고 호기심을 자극할 수 있다"며 "올해 더 많은 책을 읽겠다는 목표에 도달하기 위한 조언을 요청할 수도 있고, 양자 물리학을 간단한 용어로 설명할 수도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우리는 지금까지 바드를 테스트하면서 많은 것을 배웠고 이를 개선하기 위한 다음 단계는 더 많은 사람으로부터 피드백을 받는 것이다"고 설명했다.
댓글 많은 뉴스
"하루 32톤 사용"…윤 전 대통령 관저 수돗물 논란, 진실은?
'이재명 선거법' 전원합의체, 이례적 속도에…민주 "걱정된다"
연휴는 짧고 실망은 길다…5월 2일 임시공휴일 제외 결정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골목상권 살릴 지역 밀착 이커머스 '수익마켓' 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