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AI 국가별 기술경쟁 격차 커져…R&D·인재육성 시급"

글로벌 AI 지수 조사 한국 7위 수준에 그쳐 … 데이터 규제, 운영 환경 등 낮은 점수
"미국 오픈AI의 앨런 연구소 같은 대표 연구소 통한 R&D와 인재 육성 시급"

대한상공회의소는 27일 금융산업위원회 제39차 전체회의를 열어 최근 챗GPT가 주도하는 AI 기술의 미래와 금융산업에 대해 논의했다. 매일신문DB
대한상공회의소는 27일 금융산업위원회 제39차 전체회의를 열어 최근 챗GPT가 주도하는 AI 기술의 미래와 금융산업에 대해 논의했다. 매일신문DB

한국이 인공지능(AI) 기술 경쟁에서 미국과 중국에 비해 뒤처지고 있다는 지적이 제기되면서 연구개발과 인재육성에 대한 중요도가 높아지고 있다.

대한상공회의소는 27일 금융산업위원회 제39차 전체회의를 열어 최근 챗GPT가 주도하는 AI 기술의 미래와 금융산업에 대해 논의했다.

이날 강연에서 김선주 연세대 컴퓨터과학과 교수는 "전 세계적으로 AI 기술 선점을 위한 경쟁이 치열한 가운데 챗GPT에서 볼 수 있듯이 미국이 앞서가고 그 격차는 커질 것으로 예상되나 우리나라는 격차를 줄이기에 어려운 상황이다"고 지적했다.

영국 데이터 분석 미디어 토터스 인텔리전스의 글로벌 AI 지수 조사에 따르면 한국은 미국, 중국, 영국, 캐나다, 이스라엘, 싱가포르에 이어 7위 수준이며 AI 인재 28위, 데이터 관련 규제 등을 포함하는 운영 환경 32위 등 여러 부문에서 낮은 점수를 받았다.

김 교수는 "미국 오픈 AI, 앨런 연구소나 캐나다 벡터 연구소 같은 대표 연구소를 통해 집중화한 AI 연구개발과 인재 육성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김 교수는 금융산업 분야에서의 AI 활용 가능성에 대해서도 언급했다. 그는 "특히 퀀트(계량 분석)에서 파생상품 가치 평가, 금융시장 위험도 측정, 시장 움직임 예측 등의 모델링을 통해 금융 혁신이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금융산업위원장인 최현만 미래에셋증권 회장은 "금융은 미래 산업의 마중물 역할을 해야 하므로 기술과 규제의 트렌드를 앞서가는 것이 중요하다"며 "빅데이터, AI, 블록체인 같은 실험 도구와 자본이 붙으면 그동안의 프로세스를 완전히 탈피하는 거대한 파급력을 가질 수 있을 것이다"고 전망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