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대구 '항공사진 통합플랫폼' 서비스 실시

1973년부터 대구 모습 담긴 항공사진, 인터넷으로 활용 가능
PC, 모바일 통해 항공사진 통합플랫폼 접속하면 서비스 이용

대구시가 제공하는
대구시가 제공하는 '항공사진 통합플랫폼' 서비스 이용 모습. 대구시 제공

1973년부터 대구시의 변화된 모습이 담긴 항공 사진을 온라인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된다.

29일 대구시에 따르면 온라인으로 이달 말부터 '항공사진 통합플랫폼' 서비스를 실시한다. 이 서비스는 공간 정보 융·복합 산업 추세에 맞춰 공공 및 민간 분야를 통합할 수 있는 플랫폼 업무 환경을 조성하고, 빅데이터와 공공데이터 공유체계(API) 분야에 항공사진 성과를 적용한 결과물이다.

이 서비스의 장점은 오픈소스를 기반으로 내부 직원만 활용하던 항공사진 관리 및 판독시스템을 고도화, 시민들이 시청을 찾지 않고도 온라인을 통해 활용할 수 있게 됐다는 점. 대구시가 보유한 항공사진을 활용해 영상 기반의 콘텐츠와 연계하고 시계열 영상 정보를 구축할 수 있게 돼 각종 행정 업무의 효율성과 시민 활용도가 높아질 것이라는 게 대구시의 기대다.

시민 누구나 PC(모바일)를 통해 대구시 홈페이지 내 항공사진 통합플랫폼(https://airmap.daegu.go.kr)에 접속하면 1973년부터 최근까지 촬영한 항공사진을 쉽게, 어디서나 활용할 수 있다. 특히 주소를 검색(지번, 도로명, 장소명)해 필요한 항공사진을 저장하거나 출력해 보상, 세무, 소송 등 각종 민원 관련 소명자료로 활용할 수 있도록 했다.

권오환 대구시 도시주택국장은 "항공사진 통합플랫폼서비스를 실시하면서 최신 웹 개발 기술과 다양한 분야의 콘텐츠를 연계해 고품질 공간 정보를 시정 업무 전반에 활용할 것"이라며 "공간 정보의 행정 업무 편의성과 대(對)시민 서비스의 질을 높이기 위해 더욱 노력하겠다"고 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