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치 상품이 잘 나오니 안 담근 지 5년 됐어요"
최근 김치 소비 감소와 코로나 상황으로 김치를 직접 담가 먹는 가구 비중이 절반 이하로 줄어든 것으로 조사됐다. 반면 상품 김치 구매는 3배 이상으로 늘었다.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가 30일 발표한 '2021 김치산업 실태조사 분석보고서'에 따르면 2021년 기준 김치를 직접 담가 조달한다는 비중은 22.6%로 2017년보다 33.7%포인트(p)나 줄었다.
이 비중은 2017년 56.3% 수준에서 2018년 51.3%, 2019년 41.7%로 줄었고 코로나 첫해인 2020년 23.6%로 급감한 데 이어 2021년 22.6%로 소폭 더 감소했다.
지난 2021년 김치를 직접 담그지 않는 가구 비중은 76.7%로 2017년 43.7% 대비 33.0%p 늘었다. 집에서 아예 김치를 먹지 않는다는 비중은 0.7%였다.
김치 소비가 감소한 데는 소비자의 편의성 추구 경향 및 1인 가구 증가했고, 코로나 시기인 2020년부터 2021년에는 가족과 함께 김치를 담그기 어려운 상황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 직접 김장을 하는 가구는 갈수록 감소해 4년 만에 절반 이하로 줄어든 상황이다.
김치를 직접 담그지 않는 가구 중 상품구입 구입 비중은 33.1%로 2017년(10.5%)의 3배가 넘었다. 나머지는 가족·친척·지인 등에게서 얻는 비중이 총 43.6%로 2017년 14.7%에 비해 3배가량 차이가 났다.
시도별로는 구입 비중의 경우 시(市) 지역이 34.6%, 도(道) 지역이 31.9%로 시 지역이 앞섰고, 담가 먹는 비중은 도 지역이 23.6%, 시 지역이 21.4%로 도 지역이 많았다.
연령별로는 김치를 직접 담가 먹는다고 한 응답자의 경우 60대 이상이 36.4%로 가장 많았고, 50대가 23.9%, 40대 17.0%, 30대 15.6%, 20대 이하 11.8% 순으로 이어졌다.
가구별로는 2인 이상 가구의 직접 담금 비중이 27.0%로 1인 가구 12.3%보다는 2배 이상 많았다. 이 밖에도 상품 김치를 구입할 때 고려하는 사항은 맛 32.5%, 가격 17.0%, 원산지 16.8% 등이었다.
댓글 많은 뉴스
"하루 32톤 사용"…윤 전 대통령 관저 수돗물 논란, 진실은?
'이재명 선거법' 전원합의체, 이례적 속도에…민주 "걱정된다"
연휴는 짧고 실망은 길다…5월 2일 임시공휴일 제외 결정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골목상권 살릴 지역 밀착 이커머스 '수익마켓' 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