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韓日처럼 대만도 고령화·노동인구 감소 '대책마련 고심'

7년 후 노동연령 인구(15~64세) 129만명 감소
2030년 핵심 노동력 연령대 ‘45~54세’

대만 각 연령대 인구 추이. 대만 국가발전위원회 캡처
대만 각 연령대 인구 추이. 대만 국가발전위원회 캡처

아시아 경제 선진국일수록 저출산·고령화로 인한 노동인구 감소로 인해 경제 활력을 잃어가고 있다. 대한민국과 일본은 이미 고령화 사회로 접어들었으며, 이로 인해 대책 마련에 고심하고 있다. 대만 역시 저출산에 고령화와 조기 은퇴로 인한 노동인구 감소에 대한 대책 마련에 고심하고 있다.

3일 자유시보 등 대만언론에 따르면 대만 노동부는 최근 국가발전위원회(NDC)와 노동부의 통계를 인용해 15∼64세 노동연령인구가 2022년 1천636만명에서 2030년 1천507만명으로 129만명, 7.9% 감소할 것으로 추산했다. 15세 이상 노동참여율로 추산하면 2030년 이후 노동연령인구가 매년 9만5천여명씩 줄어들 것으로 예상된다. 더불어 핵심 노동력의 연령대가 2010년 25∼34세, 2020년 35∼44세, 2030년 45∼54세로 점차 높아지면서 노동력이 감소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대만의 경우 아시아 주요 경제강국과 비교할 때, 특징적인 부분은 '은발족'(銀髮族, 머리카락이 희끗희끗한 세대), 중고령자·여성 등의 노동참여도 저조하다는 점이다. 지난해 말 기준으로 아시아 주요국의 노년 인구 노동참여율을 비교하면 한국 36.3%, 싱가포르 32.9%, 일본 25.6%에 비해 대만은 9.62%로 뚜렷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60∼64세 인구의 노동참여율은 지난해 말 기준으로 39.55%에 그쳐 한국, 일본, 싱가포르의 60% 이상, 홍콩의 48%보다도 낮으며, 여성의 노동참여율이 51.61%로 싱가포르(60% 이상), 한국, 일본 등에 비해 낮다고 덧붙였다.

노동부 관계자는 대만과 한국, 일본, 싱가포르와의 큰 차이가 '너무 이른 은퇴'라고 밝혔다. 그는 25∼34세가 되면 노동참여율이 92%까지 올라간 후 45∼49세(85.07%), 50∼54세(76.3%), 55∼59세(59.64%), 60∼64세(39.55%), 65세 이상(9.62%) 등으로 하락한다고 설명했다.

이어 대만인의 높은 저축률, 고령자에 대한 회사의 비우호적 태도, 50세 이후 건강 문제, 연로한 부모가 돈을 버는 것을 불효라고 생각하는 사회 가치관의 영향 등의 요인으로 50∼55세가 되면 조기 은퇴하는 것이라고 풀이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