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사설] 늘어나는 1인 가구 절반이 빈곤층, 일자리 소득 지원 필요

홀로 사는 사람들이 크게 늘고 있는 가운데 1인 가구의 빈곤율이 50%에 육박하고 있다. 특히 1인 가구 노인 10명 중 7명은 빈곤층이다. 우리나라는 2025년 초고령사회(65세 이상 인구 20% 이상)로 진입하는 데다 혼인·부양에 대한 가치관 변화 등으로 1인 가구가 빠르게 늘고 있다. 이런 추세에서 1인 가구의 빈곤은 앞으로 심각한 사회 문제가 될 것으로 우려된다.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이 9일 발표한 '2022년 빈곤통계연보'를 보면, 2020년 전체 인구의 가처분소득 기준 상대 빈곤율(중위소득 50% 이하인 비율)은 15.3%였다. 1인 가구의 빈곤율은 이보다 3배 높은 47.2%로 조사됐다. 1인 가구 빈곤율은 나이가 많을수록, 여성보다 남성이 높았다. 65세 이상 노인 1인 가구의 빈곤율은 72.1%를 기록했다. 1인 가구 중 중년층(50~64세)의 빈곤율은 38.7%, 청년층(19~34세)은 20.2%였다. 특히 여성 1인 가구의 빈곤율은 55.7%로 남성(34.5%)보다 훨씬 높았다.

지난해 12월 통계청 발표에 따르면 2021년 1인 가구는 716만6천 가구로 2020년보다 7.9%(52만2천 가구) 증가했다. 전체 가구 중 1인 가구의 비중은 2005년 20% 수준이었으나 2021년 33.4%(대구 32.7%, 경북 36%)로 크게 늘었다. 2050년에는 그 비중이 39.6%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1인 가구의 절반 이상은 노후 대비가 취약한 노인층과 취업난에 놓였거나 소득이 낮은 청년층이다. 이들은 사회적 단절에 따른 고립감으로 힘들어하고, 극심한 생계난을 겪고 있다. 이는 고독사와 극단적 선택이 느는 이유이기도 하다. 국내 고독사 사망자 수는 2021년 기준 3천378명이다. 이 중 17.3%가 스스로 목숨을 버렸다. 취약 1인 가구에 대한 일자리 및 소득 지원, 다양한 사회복지서비스 등 적극적인 대책이 필요하다. 아울러 정부와 국회는 1인 가구 증가에 발맞춰 사회 시스템을 바꿔야 한다. 우리 사회의 복지 등 대부분 분야의 시스템이 전통적 가구 형태에 맞춰져 있기 때문이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