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월 전국 부동산 매매거래량은 1월보다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이 사실만으로 부동산 시장이 반등한다고 판단하긴 이르다는 분석이 나온다.
빅데이터와 AI 기반 상업용 부동산 전문기업 부동산플래닛은 11일 '2023년 2월 전국 부동산 유형별 매매거래 특성 리포트'를 발표했다.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자료(2023년 3월 15일 기준)를 기반으로 분석한 자료다.
이 자료에 따르면 2월 전국 부동산 매매거래량은 7만8천950건으로 1월(5만8천690건)보다 34.5% 늘었다. 작년 2월 거래량(9만7천42건) 수준에는 못 미쳤으나 작년 4월 이후 꾸준히 하락세를 보여온 점을 고려하면 오랜만에 시장에서 들리는 희소식이다.
특히 모든 부동산 매매거래 중 아파트 거래 변화가 눈에 띄는 부분. 2월 전국 아파트 거래량은 3만241건으로 1월(1만9천280건)보다 56.9% 올라 가장 큰 폭의 상승률을 보였다. 유일하게 지난해 2월보다 거래량이 증가(31.6%)한 유형이기도 했다.
아파트에 이어 오피스텔(46.8%)의 1월 대비 거래량 상승 폭이 두 번째로 컸다. 그 다음으로 단독·다가구(37.7%), 상가·사무실(35.5%), 연립·다세대(31.1%), 상업·업무용빌딩(23.8%), 토지(19.3%) 순이었다.
2월 부동산 매매거래 금액도 토지(1.8% 감소)를 제외한 모든 유형에서 1월 대비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1월 14조5천2억원에 머물렀던 매매거래 금액은 20조1천459억원으로 38.9% 늘었다. 작년 2월(25조2천444억원) 수준까지 회복하지는 못했으나 작년 7월 이후 처음으로 매매거래 금액 20조원대를 기록한 것으로 집계됐다. 유형별로는 거래량과 마찬가지로 아파트가 1월 대비 64.3%로 가장 크게 증가했다.

2월 전국 상업·업무용 빌딩 매매 거래량 및 거래금액은 대부분 지역에서 증가세를 보였다. 대구는 울산과 함께 1월 대비 거래량이 54.5% 증가해 대전(88.9%), 서울(63.5%)에 이어 세 번째로 증가율이 높았다. 전국 17개 지자체 중 14곳에서 1월 대비 거래량이 늘었다.
정수민 부동산플래닛 대표는 "지난해부터 올 초까지 이어져 오던 시장 하락세가 2월을 기점으로 다른 양상을 보였으나 작년 2월과 비교하면 온전한 회복세에 들어선 것으로 보긴 아직 어렵다"며 "세계 경기 침체 분위기 등 위험 요소가 여전히 존재하는 만큼 당분간 상황을 보수적인 관점으로 지켜볼 필요가 있다"고 했다.
댓글 많은 뉴스
전한길 "탄핵 100% 기각·각하될 것…尹 복귀 후 개헌·조기총선 해야"
앞치마 두른 'BTS 진', 산불피해지역 안동 길안면서 급식 봉사
헌재 전원일치로 윤석열 대통령 파면 [전문]
"헌재 결정 승복 입장 변함없나" 묻자…이재명이 한 말
'계엄, 1만명 학살 계획' 이재명 주장에 尹측 "이성 잃은 듯, 경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