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교문 밖 시선] 대현동 이슬람 사원 갈등과 경북대

이슬람 사원 이용하게 될 무슬림 대부분은 경북대 유학생
무슬림 유학생과 대현동 주민 갈등 해결 중재 존재감 미미

대구 북구 대현동 이슬람사원 공사 현장 앞에서
대구 북구 대현동 이슬람사원 공사 현장 앞에서 '돼지수육 파티'가 열려 인근 주민들이 돼지수육과 소고기국밥을 먹고 있다. 메일신문 DB
김태진 사회부 차장
김태진 사회부 차장

대구 북구 대현동 이슬람 사원 건립 공사가 중단된 지 2년을 넘기는 동안 숱하게 제시된 해법은 길지 않았다. '대화'였다. 국가인권위원회가, 세계 유수의 언론이, 무슬림과 공존한 수범사례라는 대전 어은동 주민들이 내놓은 해법도 애오라지 '대화'였다.

해법을 실행하는 길은 험난하고 요원했다. 대화의 윤활유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됐던 경북대의 존재감이 아쉬운 구석으로 남는 까닭이다. 그도 그럴 것이 이슬람 사원 건립은 경북대 유학생들의 요구로 볼 수 있어서다. 경북대의 무슬림 유학생 숫자는 150~200명으로 추정된다고 한다. 대현동 이슬람 사원을 사실상 경북대 무슬림 유학생들의 기도 장소로 귀결짓는 게 무리가 아닌 이유다.

무엇보다 사회적 중재자로서 대학의 역할을 부인하기 어렵다. 시대적 난제가 발생했을 때 대중은 대학에 해결의 실마리를 기대하기 마련이다. 토론 패널로 대학교수들이 단골로 불려 나오는 이유다. 지성의 대변자라는 데 암묵적으로 동의한 것이라 볼 수 있다. 하지만 경북대는 대현동 이슬람 사원 갈등에는 철저히 삼자적 입장을 취했다. 보다 못한 일부 교수들이 반성문에 가까운 성명서를 내기에 이르렀다. 지난달 27일 인문대교수회는 이렇게 썼다.

"인종, 성, 문화 차이를 불문하고 모든 학생의 인권과 학습권을 보호해야 할 책임이 있음에도 이 사태의 발단에서부터 현재까지 무슬림 학생·연구원들에게 자행되는 혐오와 차별을 방관하는 부끄러운 모습을 보여왔다. 경북대학교 당국 또한 사태 해결을 위해 적극적인 행정을 펼치기는커녕 반지성적 이슬람 혐오 차별 행위에 대해 무책임한 회피와 침묵으로 일관해왔다. …경북대학교 교수로서 무슬림 학생·연구원의 인권과 종교의 자유를 보호해야 할 책임이 있음에도 그들에 대한 반지성적 혐오와 차별이 자행되도록 방치한 데 대해 대학을 대신해 고개 숙여 사죄한다."

2년이 넘었다. 경북대 무슬림 유학생들과 대현동 주민들의 갈등이 회복할 수 있는 수준이라 말하기 어려워졌다. 서로를 법정에 세우려 했고, 그중 일부는 법적 처벌을 받은 탓이다. 갈등 해결의 적기를 놓친 게 결코 경북대 탓은 아니다. 다만 시대적 지성의 상아탑이라 자타가 공인할 만큼 경북대가 사회적 책무를 했느냐는 물음에 그렇다고 답하기는 어려워 보인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