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반갑다 새책] 모래전쟁

이시 히로유키 지음/ 고선윤 옮김/ 페이퍼로드 펴냄

도시는 콘크리트 세상이다. 콘크리트로 지어진 건물과 도로, 각종 조형물까지. 그런데 우리는 콘크리트 재료의 70%가 모래라는 사실을 잘 인지하지 못한다. 스마트폰이나 TV 등 다양한 전자제품에서도 모래는 필수다. '미래산업의 쌀'이라는 반도체의 주원료인 실리콘도 결국 모래에서 추출된다. 이 밖에도 웬만한 인류의 필수품들의 원료를 추적하다보면 그 끝은 모래다. 그러나 우리는 주위에 모래가 너무나 흔하고 흔하다보니 그 중요성을 깨닫지 못할 뿐이다. 마치 인류 생명의 원천인 공기와 물처럼.

일본의 환경 저널리스트인 지은이는 가속화하는 모래 소비의 심각성을 파헤치고 있다. 모래가 쓰이는 현장부터, 모래 자원을 둘러싼 쟁탈지역, 무분별한 채취로 망가진 자연환경 등을 조명하고 있다.

앞서 언급했듯 모래는 인류 문명의 원천이라 할 만큼 거의 모든 분야에 활용된다. 이 때문에 모래 소비는 엄청나다. 도시 확장 등으로 매년 채굴되는 모래는 500억 톤(t)에 달한다. 높이 5m, 폭 1m의 벽을 쌓는다면 지구를 125바퀴나 감는 벽을 만들 수 있는 양이다.

모래 사용의 급증하면서 전 세계 모래 거래 총량도 지난 25년간 6배나 늘었다. 각국은 점점 고갈되는 모래를 확보하고자 치열한 쟁탈전을 벌이고 있다.

예를 들어 중국은 자국 내 모래가 부족해지자 대만과 북한의 모래까지 노리고 있다. 싱가포르는 모래로 국토를 매립해 이전 면적의 25%에 달하는 '땅'을 늘렸다. 그 과정에서 막대한 양의 모래를 수입하고 소비했다.

불법 유통도 기승을 부린다. 모래를 불법으로 채굴해 매매하는 나라는 70개국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모래를 유통하는 마피아 등 불법 조직이 늘어나면서 살인사건도 빈번히 발생했다.

환경 파괴도 심각해지고 있다. 과도한 모래 채굴로 중국의 주요 철새 도래지인 포양호 인근 습지가 사라졌다. 철새들은 보금자리를 잃었다. 모래사장이 사라지면서 바다거북이 산란할 곳도 크게 줄었다. 모래 채굴이 지난 2004년 스리랑카에서 발생한 쓰나미 피해를 악화했다는 국제단체의 보고서도 나왔다.

지은이는 "모래와 물처럼 넘치고 넘치는 자원이 거대한 인류 활동 앞에서 고갈되고 있다. 이것이 지구의 현실"이라고 경고하고 있다. 271쪽, 1만6천800원.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