엔데믹 시대를 맞아 '무인점포'가 일상 곳곳으로 파고들고 있다. 지난해 4월 사회적 거리두기가 전면 해제된 지 1년 동안 음주 문화의 변화와 인건비 상승으로 무인점포는 많은 자영업자들의 생존 전략이 됐지만, 동시에 다양한 범죄의 온상으로 전락하고 있다.
지난 18일 오전 10시쯤 찾은 경북대학교 북문은 걸음을 옮길 때마다 어렵지 않게 다양한 무인점포를 찾을 수 있었다. 경북대 북문을 기준으로 반경 500m 안에 무인점포는 9곳에 달했다. 무인사진관이 4곳으로 가장 많았고 빨래방과 아이스크림판매점, 카페 등도 눈에 띄었다. 이들 9곳 중 3분의 1은 지난해 4월 사회적 거리두기 해제 이후 문을 열었다. 직전 업종은 꼬치, 떡볶이, 치킨 등 식당과 주점이었다.
같은 시각 동성로 역시 로데오거리를 기준으로 한 블록 안에 무인점포만 10여 곳에 달했다. 무인사진관이 대부분을 차지했고 무인성인용품점과 카페도 있었다. 길 하나를 사이에 두고 많게는 5곳의 무인점포가 모여 있는 곳도 있었다.
경북대 북문에서 무인 액세서리점을 운영하는 채모(45) 씨는 "확실히 무인점포가 늘고 있는 게 느껴진다. 과거에는 이 자리에 치킨집이 있었는데 지금은 완전히 다른 업종을 하고 있다"며 "인건비 절감과 경기에 큰 영향을 받지 않는다는 점이 점포가 많이 늘어나는 원인인 것 같다"고 말했다.
대세가 된 무인점포는 통계로도 그 위상을 확인할 수 있다. CU와 GS25, 세븐일레븐 등 편의점 업계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국내 무인편의점은 3천310개로 2020년 499개와 비교하면 약 6배나 급증했다.
지난 2021년 9월 잡코리아와 알바몬 등이 자영업자 195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설문조사에서도 전체 응답자 중 66.7%가 무인점포를 고민한 적이 있다고 답했다. 인건비 부담과 인력 관리의 어려움 등이 대표적인 이유로 꼽혔다.
무인점포의 부작용도 만만치 않다. 점포를 관리하는 인력이 없는 탓에 절도나 시설 훼손, 동물 유기 등 다양한 범죄가 새로운 사회적 문제로 떠오르고 있다. 조은희 의원이 지난해 9월 경찰청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2021년 3월부터 지난해 6월까지 무인점포에서 발생한 절도 사건은 모두 6천344건으로 나타났다.
무인점포를 대상으로 하루 평균 13건의 절도사건이 발생하는 셈이다. 대구에서도 지난해와 2021년 한 해 동안 각각 172건과 162건의 절도가 발생했다. 무인 아이스크림 가게를 운영하는 우재민(32) 씨는 "절도 등 범죄는 감안하면서 장사를 하고 있다"며 "무인점포를 운영하면서 평생 볼 경찰은 다 본 것 같다"고 토로했다.
전문가들은 무인점포에 대한 관리를 강화해야 한다고 지적한다. 무인점포는 사업자 등록만 하면 영업이 가능한 자유업에 속한다. 지자체 신고 의무가 없는 탓에 정확한 점포 통계도 잡히지 않는다.
김중곤 계명대학교 경찰행정학과 교수는 "무인점포라는 것 자체가 범행 동기를 유발하는 측면이 있다"며 "지역 경찰의 순찰을 강화하거나, 주민 자율방범대를 활용하는 방식으로 감시 수단을 강화해야 한다"고 말했다.
댓글 많은 뉴스
홍준표 대선 출마하나 "트럼프 상대 할 사람 나밖에 없다"
나경원 "'계엄해제 표결 불참'은 민주당 지지자들 탓…국회 포위했다"
홍준표, 尹에게 朴처럼 된다 이미 경고…"대구시장 그만두고 돕겠다"
언론이 감춘 진실…수상한 헌재 Vs. 민주당 국헌문란 [석민의News픽]
"한동훈 사살" 제보 받았다던 김어준…결국 경찰 고발 당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