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를 찾은 미국, 일본, 중국 관광객이 나라별로 다른 소비행태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26일 대한상의는 지난달 14일부터 지난 9일까지 한국 관광을 마치고 출국하는 외국인 관광객 400명을 대상으로 쇼핑 트렌드를 조사(복수응답 가능)한 결과 중국 관광객은 화장품, 일본 관광객은 식료품, 미국 관광객은 의류에 각각 가장 많은 지출을 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외국인 관광객들이 선호한 상품군은 의류 및 가방·지갑·벨트(30.8%), 화장품 및 향수(30%), 식료품(29.3%) 등으로 집계됐다.
이중 중국인 관광객의 75.8%는 화장품 및 향수 지출이 가장 많았고, 미국인 관광객의 43.4%는 의류 및 가방·지갑·벨트, 일본인 관광객은 41.9%는 식료품을 가장 선호한다고 말했다.
쇼핑 지출 규모별로는 중국인 관광객이 1천546달러(한화 약 206만원)로 가장 많은 지출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어 미국 844달러(약 113만원), 일본 796달러(약 106만원) 순으로 이어졌다.
상품 선택 기준도 3국이 상이하게 나타났다. 중국인 관광객은 브랜드(35.5%)를 가장 먼저 고려했으나 일본인 관광객은 한국적 상품(33.8%), 미국인 관광객은 품질(39.6%)을 선택 기준으로 꼽았다.
한국을 찾을 때 선호하는 쇼핑 장소로는 중국인 관광객은 백화점(87.1%), 일본인 관광객은 편의점(86.5%), 미국인 관광객은 편의점·백화점(각 62.3%)을 주로 방문한다고 응답했다.
외국인 관광객의 국내 쇼핑에 대한 만족도는 '만족한다'고 응답한 비율이 89.8%로 전반적으로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다.
연령대로는 20대 92.4%로 가장 높은 만족도를 보였고 쇼핑 목적 여행으로 한국을 추천하겠다는 의견도 20대가 93.2% 다른 연령대에 비해 높았다.
한국 관광 및 쇼핑 환경 개선사항으로는 중국 관광객들 83.9%가 언어 소통에 있어 가장 불편을 호소했다.
대한상의는 "중국인들의 생활수준이 높아지면서 과시적 소비특징을 보이고 있는 반면, 일본 관광객은 한국적인 상품과 가격에 대한 관심이 더 높았다"며 "외국인 관광객 쇼핑 활성화를 위해 국가별 K-상품 구매 행태를 반영한 제품을 개발, 유통하는 것은 물론 언어소통과 친절한 서비스 제공 등 편리한 쇼핑 환경을 제공해야한다"고 분석했다.
댓글 많은 뉴스
'尹파면' 선고 후 퇴임한 문형배 "헌재 결정 존중해야"
안 "탈당해야" 김·홍 "도리아냐"…국힘 잠룡들 尹心 경계 짙어질까
이재명 "대구·경북의 아들 이재명, TK 재도약 이끌겠다"
전한길 "사전투표 규칙 개정해야…제2의 홍콩·베네수엘라로 몰락할 수도"
이재명, 민주당 충청 경선서 88.15%로 압승…김동연 2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