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반갑다 새책] 우리의 미래를 결정할 과학 4.0

박재용 지음/ ㈜북루덴스 펴냄

최첨단 기술을 직·간접적으로 접하다보면 문득 드는 물음이 있다. '우리가 현재 누리고, 미래에 누릴 최첨단 기술이 과연 우리를 힘들게 하고, 심지어 생존의 위협을 주지 않을까.' 챗 GPT가 일깨워준 AI의 놀라움도 잠시, 뭔가 불안감이 스멀스멀 피어나는 게 사실이다. 특히 이들 기술로 인해 인간의 일자리가 상당수 줄어들지 않을까 하는 두려움도 있다.

이 책은 앞서 서술한 불안감과 두려움을 갖고 있는 젊은이, 좀 더 좁혀 청소년을 위한 과학기술 설명서다. 자신의 진로와 적성을 찾는 그들에게, 미래사회에 가장 큰 영향을 끼칠 과하기술 35가지를 알기 쉽게 소개하고 있다. 미래를 좌지우지할 35가지 과학기술은 도대체 어떤 것이고, 그 과정이 어떻게 진행되는지를 설명하고 있다.

책은 ▷모빌리티 ▷우주와 로봇 그리고 소재 ▷정보통신 ▷생명공학 ▷기후위기와 재생에너지 등 5개의 큰 카테고리로 나눠져 있다.

모빌리티는 주로 전기자동차를 떠올리겠지만, 초고속 운송수단인 '하이퍼루프'(Hyperloop)도 관심거리다. 최고 시속 1천200㎞에 달하는 '하이퍼 루프'는 서울과 부산 사이를 20분으로 주파할 있다. 2013년 테슬라 창업자인 일론 머스크가 공개해 대중적인 관심을 불러일으켰다. 하이퍼루프는 실제로 여러 나라나 기업에서 개발에 뛰어들고 있어 현실화가 그리 먼 얘기는 아닌 듯 싶다.

우주를 향한 각국과 기업들의 경쟁도 흥미롭다. 그동안 우주산업은 미국, 러시아, 유럽, 중국 등 극히 일부 국가가 독점했지만, 21세기는 하나의 산업으로 자리잡고 있다. 대표적인 2002년 일론 머스크가 설립한 스페이스X다. 2017년 스페이스X는 이미 사용한 발사체를 재사용하면서 우주산업의 지형을 완전히 뒤바꾸었다. 이제 인공위성과 우주정거장 등의 개발 및 운영은 대부분 민간기업에서 담당하고 있다. 미국을 중심으로 추진하는 '아르테미스 프로젝트'도 지켜봐야 할 사업이다. 달에 기지를 건설해 자원을 채굴하고 달 기지를 기반으로 화성 등 더 먼 우주로 나아가려는 시도이다. 405쪽, 1만9천500원.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