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축은행 업계의 고정이하여신(NPL) 비율이 5%를 돌파하면서 자산건전성 악화 우려가 커지고 있다. NPL은 연체 기간이 3개월을 넘긴 '부실채권'을 의미한다.
1일 저축은행중앙회에 따르면 올해 1분기 말 저축은행 업계의 NPL 비율은 5.1%로 나타났다. 지난해 말(4.04%)에 비해 1.1%포인트(p) 오른 수치다. NPL 비율은 2019년 4.7%, 2020년 4.24%, 2021년 3.35%로 하락세를 보이다 지난해 4.04%로 반등했다.
1분기 저축은행 업계 연체율도 5.1%로 잠정 집계됐다. 5%를 넘긴 건 지난 2016년 말(5.83%) 이후 처음이다. 연체율은 2021년 2.51%까지 떨어졌지만 지난해 3.41%로 반등한 뒤 오름세를 이어가고 있다. 경기 침체로 중·저신용자 차주(대출자) 어려움이 커지면서 연체율과 고정이하여신 비율이 상승했다는 게 업계 설명이다.
이처럼 건전성 지표는 악화하고 있지만 '아직은 관리할 수 있는 수준'이라는게 업계측 설명이다. 오화경 저축은행중앙회장은 최근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2014년 저축은행 사태 당시 연체율 14∼15%와 비교하면 5%대는 관리 가능한 수준"이라고 설명한 바 있다.
이복현 금융감독원장도 "건전성과 시스템 리스크와 관련해 저축은행 포트폴리오는 여전히 관리할 수 있는 수준이라고 판단한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연체율 증가에 대해서는 상각 대상 자산의 매각, 상각 절차가 지연되는 부분이 있어 금융기관들이 조금 더 신속하게 부담을 덜어낼 방법이 있는지 금융회사·협회와 논의 중"이라고 했다.
금융 당국은 저축은행 연체율 상승이 신규 연체 외에도 NPL 매각 지연 등과 연관된 만큼 NPL 매각 통로를 다양화하는 등 방안을 논의하고 있다.
아울러 1분기 말 전국 79개 저축은행의 자산은 135조1천억원으로 작년 말보다 2.5%(3조5천억원) 감소했다. 순손실 규모는 600억원으로 추정됐다. 저축은행중앙회는 적자로 돌아선 배경으로 수신금리 인상에 따른 비용과 대손충당금 추가 적립을 꼽았다.
저축은행중앙회는 업계 1분기 평균 자기자본비율(BIS)은 13.6%로 지난해 말(13.15%)보다 0.45%p 올라 금융 당국 권고 비율(11%)보다 높다며 손실흡수 능력이 충분하다고 강조했다. 중앙회는 "1분기 유동성비율(241.4%) 역시 법정 기준(100%)을 큰 폭으로 상회했으며 하반기부터 영업실적이 호전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댓글 많은 뉴스
"하루 32톤 사용"…윤 전 대통령 관저 수돗물 논란, 진실은?
연휴는 짧고 실망은 길다…5월 2일 임시공휴일 제외 결정
'이재명 선거법' 전원합의체, 이례적 속도에…민주 "걱정된다"
골목상권 살릴 지역 밀착 이커머스 '수익마켓' 출시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