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사설] 코로나19 비상사태 해제, 일상 회복 서두르되 경계심 지녀야

세계보건기구(WHO)가 지난 5일(현지시간) 코로나19와 관련, 최고 수준의 보건 경계 태세인 국제보건비상사태(PHEIC)를 해제하기로 결정했다. 2020년 1월, PHEIC가 내려진 지 3년 4개월 만이다. 사망자와 중환자가 급감하고 면역 인구가 크게 늘자 코로나19가 더 이상 치명적 질병이 되지 않는다는 선언을 WHO가 한 것으로 받아들여진다.

우리 정부의 엔데믹(endemic·풍토병으로 굳어진 감염병) 논의도 속도를 탈 것으로 보여 일상 회복 속도가 빨라질 것으로 전망된다. 정부가 조만간 열릴 위기평가회의에서 위기 단계를 '심각'에서 '경계'로 낮출 경우, 확진자 격리 기간이 7일에서 5일로 줄어들고 임시선별검사소 운영이 중단되며, 거의 매일 나오는 신규 확진자 등 관련 통계는 주간 단위 발표로 전환되는 등 큰 변화가 나타난다.

그러나 코로나19 방역에 대한 성급한 완전 무장해제는 위험하다는 게 전문가들의 한결같은 조언이다. 여전히 새로운 변이 위험에 대한 경고가 계속되고 있고, WHO 역시 비상사태 해제 결정을 발표하면서 "세계가 코로나19로 인한 위험에서 완전히 벗어난 것은 아니며 효과적인 위기 대응을 위한 활동을 지속해 달라"고 권고했다. 정부도 이러한 상황을 감안해 의료기관과 취약시설에 대해 적용 중인 마스크 착용 의무 등을 당분간 유지, 완전한 일상 회복은 내년이 되어야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말로 표현하기 힘들 만큼 혹독한 비용을 지불해야 했던 코로나19를 비롯해 우리는 2000년대 이후 사스, 신종플루, 메르스 등 신종 감염병과 잇따라 마주하고 있다. 감염병 위기 국면에서 치료약과 예방 백신이 무기화되는 장면도 목격했다. 반도체·자동차·휴대전화 등 여러 분야의 세계 일류 산업을 갖고 있는 우리나라지만 바이오 산업에서만큼은 괄목할 만한 성취를 이뤄내지 못하고 있다. 코로나19 대유행의 종착점에서 마지막까지 경계심을 늦추지 않으면서, 바이오산업 육성 등 새로운 감염병 위협에 대한 대비 태세를 반드시 갖춰놔야 한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