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매일춘추] 대중성과 작품성

김민지 아양아트센터 공연기획·홍보담당

김민지 아양아트센터 공연기획·홍보담당
김민지 아양아트센터 공연기획·홍보담당

대중성과 작품성, 두 마리 토끼를 잡는 일은 기획자의 중요한 목표다. 그런데 대중성은 갖췄으나 작품성은 떨어진다거나 그 반대의 상황들을 접하다 보면, 두 마리 토끼를 잡는 일이 생각처럼 쉬운 일이 아님을 체감하곤 한다.

서점에 들어서면 나도 모르게 베스트셀러나 신간 코너에 먼저 발길을 옮기게 될 때가 있다. 베스트셀러라고 하면 작품의 가치를 따지지 않고 구매하고 싶은 충동을 들 때가 종종 있는데 그래서 의도적으로 조금 뒤쪽으로 눈길을 돌려 대중들의 손길을 기다리는 책들을 달래주러 가기도 한다. 보석을 찾는 광부의 느낌으로 말이다.

이렇게 트렌드, 통념적 가치가 우리가 당연히 따라야만 하는 삶의 중요한 가치처럼 돼버린 현실이 비단 서점에서만 일어나는 일은 아닐 것이다.

기획 공연의 경우만 하더라도 대중성과 작품성을 둘 다 갖춰 관객들에게 선보이기에는 많은 어려움이 따르기도 한다. 대중성 있는 작품으로 관객들이 열광하는 모습을 보고 싶다는 생각과 동시에 평소에 접할 기회가 적었던 작품성 있는 공연을 선보여 다양한 문화 향유에 이바지해야 할지 하는 것들을 늘 고민하게 된다.

그렇다면 대중성과 작품성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다 잡을 수는 없을까. 그런데 여기서 어떤 공연이 대중적이고 또 작품성 있는 공연인가에 대한 물음이 생긴다.

대중적인 공연이란 다수가 좋아할 수 있는 공연이라는 정의에 대한 확신이 들지만, 그에 비해 작품성 있는 공연에 대해서는 그 의미가 확실히 와 닿지 않는 것이 사실이다. 작품성과 대중성을 겸비한 공연을 위해 비교적 대중적인 장르에 입체적인 캐릭터와 구체적 서사를 입히는 시도 자체가 상당한 난이도를 갖고 있는 것 같다. 캐릭터를 유의미하게 활용해야 하고, 캐릭터의 발전하는 속도와 템포를 맞춰야 하며, 초반부, 중반부, 후반부 모두 전개의 재미를 잃지 않아야 하기 때문이다.

기획자로서 경험해 본 바에 의하면 작품이 가지는 정체성과 방향성만 잃지 않는다면 그래도 작품성과 대중성에 있어서 실패하는 공연으로 끝나지는 않았던 것 같다. 다만 정체성과 방향성이란 것을 기획자나 관객 모두가 함께 고민해야 하는 요소하고 모두 인식해야 한다는 것을 잊지 말아야 한다. 관객 또한 좀 더 가치 있는 작품을 스스로 찾아 나서고 이것을 소화할 수 있는 문화 수준 또한 필요하며 기획자는 작품성은 곧 예술의 다양성과 연결됨을 이해하고 관객들과 소통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기획해야 한다.

기획자가 작품성과 대중성을 겸비한 공연을 제작하기 위해서는 자기 자신은 물론 관객들에게 "건강한 비판을 받을 준비가 되어 있는가?"라는 물음을 늘 가슴 속에 새겨야 한다. 비판의 두려움을 이겨낸 기획자야말로 성장하며 관객들과 아름다운 하모니를 낼 수 있기 때문이다.

아무리 가치 있는 작품일지라도 관객들이 그 작품을 소비하려고 하지 않는다면 그것은 존재 가치를 지닐 수 없다. 관객들은 자신이 선호하는 기호식품만 찾으려 하지 말고 가끔은 쌉싸름한 산나물의 맛도 느껴보는 것은 어떨까. 곱씹을수록 느껴지는 깊고 다양한 맛에서 그들의 존재의 이유와 공감의 의미를 찾으며 알 수 없었던 새로운 세계로 안내를 도와줄 것이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