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축은행과 상호금융이 정기예금 금리를 끌어올리고 있다. 낮은 금리와 경영 상황 악화로 수신 잔액이 줄어들자 자금 이탈을 막고자 4~5%대 고금리를 내걸고 유동성 확보에 나선 것으로 풀이된다.
30일 저축은행중앙회에 따르면 전국 저축은행의 12개월 만기 정기예금 평균 금리는 연 3.98%로 집계됐다. 매월 1일을 기준으로 보면 1월 5.37%에서 2월(4.62%), 3월(3.79%), 4월(3.77%)에 계속 떨어지다가 이달 들어 3.87%로 반등했다. 예금 평균 금리 4% 돌파를 다시 코앞에 둔 것이다. 시중은행의 40개 정기예금 상품의 평균 금리가 연 3.198%(1년 만기 기준)로 한 달 전(3.45%)보다 오히려 하락한 것과 대조적이다.
실제로 최근 저축은행 사이에서는 연 4.5% 금리의 예금 상품 출시가 이어지고 있다. 대구에 본점을 둔 드림저축은행은 기본금리 연 4.3%에 특판우대금리 적용 시 최고 연 4.5% 금리를 제공하는 1년 만기 예금 상품을 운영 중이다. 이는 저축은행 업계에서 최고 수준 금리이다.
심지어 대구 일부 새마을금고는 금리가 5%대를 찍었거나 육박하는 수준이다. 29일 공시한 남대구 새마을금고의 1년 만기 정기예탁금 금리는 5%로 나타났다. 다인건설 부실대출 논란이 있었던 A새마을금고는의 1년 만기 'MG더뱅킹정기예금'에 4.95% 금리를, B금고는 정기예탁금·자유자재정기예금Ⅱ·꿈드림회전정기예탁금·MG주거래우대정기예금 등에 4.9% 금리를 제공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여기에 대구의 대부분 신협에서도 4%대 금리 정기예금 상품을 취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효천신협, 내당천신협의 1년 만기 정기예금 금리는 4.6%로 집계됐다. 대구대서신협의 1년 만기 정기예금 금리는 4.5%였다.
2금융권의 이 같은 금리 흐름을 두고 금융계에서는 자금 이탈을 막기 위한 고육책이라는 해석이 나온다. 실제로 지난 3월 저축은행 예금 금리가 낮아지자 자금 이탈 현상이 나타났다. 저축은행의 3월 말 예금잔액은 116조431억원으로, 전달 118조9천529억원에 비해 2.4% 감소했다.
새마을금고도 연체율에 '비상'이 걸린 상황이 고금리 상품 운영이라는 고육책을 택할 수밖에 없는 것이라는 해석이 나온다. 예대율(예금 잔액에 대한 대출금 잔액 비율) 규제에 맞춰 추가 대출을 하려면 기존보다 예수금을 더 많이 확보해야 해 금리를 높여서라도 고객을 붙잡아 둔다는 것이다.
한국은행 대구경북본부에 따르면 대구 소재 새마을금고 연체율(102개 평균)은 2021년 12월 말 1.15%에서 작년 연말 2.92%로 1.7%포인트(p) 올랐다. 고정이하여신(고정+회수의문+추정손실) 비율 역시 같은 기간 1.53%에서 2.46%로 올랐다. 특히 다인건설 부실대출 관련 12개 금고의 연체율 평균은 5%로 지역 평균과 비교해 현저히 높다.
금융권 관계자는 "저축은행은 금리 경쟁력이 없으면 시중은행에 예금 고객을 모두 빼앗겨버린다. 1분기에 시중은행보다 예금 금리가 낮아지면서 자금 이탈이 빨라졌다"며 "신규 수신 영업도 힘든데 연체율 관리 등 경영 환경도 녹록지 않으니 유동성 마르기 전에 예금 금리를 조정하고 있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댓글 많은 뉴스
"하루 32톤 사용"…윤 전 대통령 관저 수돗물 논란, 진실은?
'이재명 선거법' 전원합의체, 이례적 속도에…민주 "걱정된다"
연휴는 짧고 실망은 길다…5월 2일 임시공휴일 제외 결정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골목상권 살릴 지역 밀착 이커머스 '수익마켓' 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