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코퓨처엠과 제너럴모터스(GM)가 배터리소재 북미 합작투자를 확대하고 공급망 협력을 강화한다.
2일 포스코퓨처엠에 따르면 양사는 북미 양극재 합작사 '얼티엄캠'의 생산 능력 확대를 위한 2단계 투자에 나서 양극재 생산공장 증설과 중간 소재인 전구체 공장 신설을 2026년 완공을 목표로 추진한다.
여기에 얼티엄캠은 증설 라인에서 제조할 하이니켈 양극재를 GM과 LG에너지솔루션의 배터리 합작사 얼티엄셀즈에 공급하는 대규모 계약을 9년간(약 13조1천800억원) 추가로 체결했다.
양극재는 배터리 원가의 40% 비중을 차지하며 용량과 출력 등의 성능을 좌우하는 핵심소재다. 전구체는 양극재의 중간소재로 니켈, 코발트, 망간 등의 원료를 가공해 제조한다.
포스코퓨처엠은 얼티엄캠에 약 1조4억5천만원을 투자할 계획이다. 투자금은 연산 3만3천t 규모의 양극재 생산공장과 연산 4만5천t 규모의 전구체 공장 증·신설에 사용된다.
앞서 포스코퓨처엠은 지난해 7월 배터리 소재사 최초로 글로벌 자동차사인 GM과 함께 합작사 얼티엄캠을 설립, 캐나다 퀘벡주 베캉쿠아에 오는 2024년 완공을 목표로 연산 3만t의 양극재 공장을 건설하고 있다.
이번 투자로 양사는 양극재 생산 능력을 확대하고, 중간 소재인 전구체까지 현지 생산할 수 있는 단지 조성에 나섰다는데 의미가 크다고 회사 측은 설명했다.
GM은 오는 2025년까지 북미에서 연간 100만대 전기차 생산 체제를 갖출 예정이다. 이를 위해 4개의 배터리셀 합작공장을 미국에 설립해 160GWh(기가와트시)의 생산 능력을 구축할 계획이다.
합작사 얼티엄캠을 통해 GM의 전기차 모델인 쉐보레, 캐딜락, GMC, 뷰익, 브라이트드롭 등의 생산에 필요한 양극재를 공급받게 된다.
김준형 포스코퓨처엠 사장은 "전기차 시장이 급성장하는 북미에서의 선제적인 투자로 글로벌 배터리소재 강자로 도약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했다"며 "양사의 긴밀한 협력을 바탕으로 최고 품질의 배터리 소재를 생산해 글로벌 친환경 모빌리티 산업의 성장을 이끌어 나가겠다"고 했다.
한편, 포스코퓨처엠은 한국을 비롯해 전기차 주요 시장인 북미, 중국, 유럽 등에 글로벌 양산거점을 확대하고 있으며 이번 투자를 통해 인플레이션 감축법(IRA) 등의 권역 내 공급망 구축 정책을 강하게 추진하고 있는 북미에 대규모 생산능력을 확보하게 된다.
앞으로 글로벌 파트너십과 양산 투자에 박차를 가해 현재 연 10만5천t의 양극재 글로벌 생산능력을 2030년까지 61만t으로 늘릴 계획이다.
댓글 많은 뉴스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이재명, 민주당 충청 경선서 88.15%로 압승…김동연 2위
전광훈 "대선 출마하겠다"…서울 도심 곳곳은 '윤 어게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