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이 한국과 인접한 지역에 원전을 공격적으로 확대하고 있다. 가동 원전 규모가 세계 2위인 프랑스를 곧 넘어 세계 1위를 차지할 수도 있다는 예측도 나온다.
세계 신규 건설 원전의 약 40%가 중국에 위치할 정도인데, 원전 대다수가 중국 최동단인 산둥성 등 동부 연안에 몰려 향후 한중 원자력 안전 협력의 중요성이 커질 전망이다.
4일 세계원자력협회(WNA)에 따르면 지난 5월 기준 세계에서 가동 중인 원전은 총 436기다.
국가별로 보면 ▷미국이 93기(설비용량 9만5천835MW) ▷프랑스 56기(6만1천370MW) ▷중국 55기(5만3천286MW) ▷러시아 37기(2만7천727MW) ▷일본 33기(3만1천679MW) ▷한국 25기(2만4천489MW) 등 순이다.
중국은 현재 가동 중인 원전이 프랑스 대비 1기 적지만, 신규 건설하는 전 세계 원전 총 59기 가운데 23기가 건설 중이다. 프랑스 신규 원전은 1기에 불과하다.
건설 중인 원전과 별개로 당국 승인을 받았거나 자금 확보 방안을 확정해 15년 내로 세계적으로 건설 예정 원전은 모두 100기다. 이 가운데 중국에서만 45기가 건설된다. 중국이 건설 중이거나 건설할 계획인 원전은 총 68기다.
원자력 발전규모 1위인 미국에서는 현재 원전 1기를 건설하고 있고, 3기를 추가 건설할 계획을 세우고 있다.
계획대로 중국이 원전을 추가 건설하게 되면 미국을 제치고 원전 가동 1위 국가가 될 수도 있다. 중국은 석탄 에너지 사용으로 인한 대기 오염을 줄이기 공격적으로 원전을 확대하고 있다. 중국은 전체 전력의 약 60%를 화력발전소에서 생산하고 있다.
WNA는 "오래된 석탄 발전소에 대한 과도한 의존 때문에 중국의 전력 생산은 대기 오염의 상당 부분을 차지한다"며 "이는 세계 최대 탄소 배출국인 중국이 원전 비중을 높이려는 강력한 이유가 된다"고 전했다.
중국의 신규 원전은 한국과 가까운 중국 동부 연안에 몰려 있다.
광둥성 다야완(大亞灣)·링아오(嶺澳) 등 한국과 거리가 먼 중국의 남부 지역을 제외하고도 장쑤성 톈완(田灣), 산둥성 하이양(海陽), 랴오닝성 훙옌허(紅沿河) 등 한국과 가까운 지역에 원전이 들어서고 있다. 한국과 가장 가까운 산둥반도 끝단인 스다오완(石島灣)에도 원전을 건설하고 있다.
중국은 바다에 띄우는 해상부유식 원전 개발에도 힘을 쏟고 있다. 중국은 2021년 3월 공개한 '14차 5개년 계획'을 통해 "해상 부유식 핵동력 플랫폼 등 선진 원자로 시범 사업을 추진한다"면서 해상부유 원전 개발 의지를 밝혔다.
한 에너지 업계 관계자는 "최근 일본의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방류 문제에 국민들의 관심이 쏠려 있지만, 우리와 가까운 연안에 많은 중국의 원전 안전도 우리에게 중요한 이슈가 될 수 있다"고 말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우리 아기가 태어났어요]신세계병원 덕담
"하루 32톤 사용"…윤 전 대통령 관저 수돗물 논란, 진실은?
'이재명 선거법' 전원합의체, 이례적 속도에…민주 "걱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