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인구 1천 명당 활동 의료인력 양극화 심화…경북 의사 증가폭 최하위권

2013년 대비 지난해 대구 인구 1천 명당 활동 의사 0.58명↑…전국 2위
대구 인구 감소, 지역 의과대학 많은 점 등 원인으로 작용

병원 의료진. 기사 내용과 무관함. 연합뉴스
병원 의료진. 기사 내용과 무관함. 연합뉴스

지역별 활동 의료 인력의 '부익부 빈익빈' 현상이 갈수록 심화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지난 10년간 대구는 의사, 간호사 인력 모두 인구 대비 증가세가 두드러졌는데, 타시도 대비 의대가 많은 데다 인구 감소세가 함께 작용했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된다.

9일 신현영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보건복지부로부터 제출받은 '최근 10년간 지역별 인구 1천 명당 활동 의사·간호사 현황'에 따르면, 지난해 시도별 활동 의사 수는 ▷서울(3.47명) ▷대구와 광주(2.62명) ▷부산(2.52명) 순이었다.

2013년 대비 지난해 활동 의사 수 증감 추이를 분석한 결과 대구는 0.58명이 증가해, 서울(0.8명)에 이어 2번째로 증가폭이 컸다. 이어 광주(0.51명), 세종(0.5명) 등의 순으로 인구 1천 명당 활동 의사 수가 많이 증가했다.

통계청에 따르면 이 기간 전국 주민등록 인구는 0.9% 증가했지만, 대구는 252만4천890명에서 239만3천259명으로 5.2% 감소했다. 여기에 지난 10년간 대구의 활동 의사 수 증가율은 21.1%로 서울(20.9%), 광주(20.5%), 부산(16.8%) 등 타시도와 비교할 때 높은 편에 속했다.

이 기간 경북 인구 1천 명당 활동 의사는 1.25명에서 1.39명으로 0.14명 증가에 그쳐, 17개 시도 중 가장 낮은 증가세를 보였다.

2013년 인구 1천 명당 활동 의사 수가 가장 높은 서울과, 가장 적은 세종의 격차는 1.88명이었는데, 지난해 2.18명으로 벌어졌다.

지역별 간호 인력의 증가 추이도 비슷했다.

지난 10년간 인구 1천 명당 활동 간호사 수는 전국에서 대구(3.27명)가 가장 많이 증가했다. 이어 ▷광주(3.26명) ▷서울(3.08명) ▷부산(3명) 순이었다.

이 기간 경북은 2.49명에서 4.04명으로 1.55명 증가에 그쳐, 제주(1.28명), 충북(1.36명)에 이어 전국에서 세 번째로 낮은 증가폭을 기록했다.

신 의원은 "시간이 갈수록 의료 인력의 지역별 양극화 현상이 악화되는 상황에서 의료취약지에 대한 정부의 적극적인 대책이 절실하다"며 "필수의료 붕괴, 수도권 병상 쏠림 현상을 등 지역 균형 발전을 저해하는 원인을 분석하고 지방의료 활성화를 위해 지역수가를 포함한 특단의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진료량, 환자 수요, 의료 공급의 적정성 등 다양한 지표를 기반으로 지역별 적정 의료 인력을 추계하고, 필요한 지역부터 의료 인력이 공급될 수 있도록 제도 설계가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