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제 36주년 6·10 민주항쟁 기념식에 결국 불참했다.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는 10일 오전 10시 서울 명동성당에서 기념식을 열었다.
지선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이사장은 기념사에서 "36년 전 오늘을 되새김으로써 더 나은 민주주의를 가꿔나가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며 "6·10 민주화 운동이 4·19 혁명과 마찬가지로 헌법 전문에 포함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번 기념식이 열린 서울 명동성당은 지난 1987년 6월 10일부터 5일 동안 군부독재 타도와 대통령 직선제를 요구하는 농성투쟁이 벌어졌던 곳이다.
매년 행사를 주최해 온 행정안전부는 지난 2007년 국가기념일 제정 이후 처음으로 행사에 불참했다. 차관의 기념사도 취소됐다.
행안부는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가 최근 윤석열 대통령 퇴진 등을 구호로 내건 행사에 후원했다는 이유를 들어, 사업회가 주관하는 이날 기념식에 참석하지 않겠다고 통보했다.
지난 8일 '32회 민족민주열사·희생자 범국민추모위원회'는 오는 10일 서울시청 주변에서 범국민추모제를 개최한다는 지면광고를 냈는데 광고에는 정권 퇴진 문구가 포함됐다.
행안부는 "정부에 대한 공격을 후원한 상황이 됐다"며 기념식 전날인 지난 9일 갑작스럽게 불참 통보를 했다. 행안부는 동시에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에 대한 특별감사도 예고했다.
다만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쪽은 애초 해당 단체에 후원을 심사할 당시에는 '정권 퇴진' 등의 문구는 없었다는 입장이다.
▶한편 야권 인사들은 정부의 기념식 불참에 비판을 쏟아내고 있다.
한민수 더불어민주당 대변인은 "오늘날 우리가 누리는 민주주의는 수많은 국민의 피와 땀과 눈물의 결실이라는 것을 잊지 말아야 한다"며 "6・10 민주항쟁 기념식을 주관하는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가 정부 비판 행사를 후원했었단 이유로 정부가 기념식에 불참하고 특별감사를 벌이기로 하는 사상 초유의 사태도 벌어졌다"고 비판했다.
김동연 경기도지사도 "지금의 헌정 체제는 1987년 6월 항쟁의 산물이다. 대통령 직선제를 쟁취했고 윤석열 대통령이 그 여덟 번째 대통령"이라며 "그동안 정부가 주최해온 기념식에 정부가 불참했다. 헌정질서 수호를 강조해온 정부가 불참한 것은 자가당착이며 옹졸한 일"이라고 지적했다.
이날 기념식에 참석한 이재명 대표도 "민주주의를 시작했던 오늘의 현장을 대통령과 정부 당국자들이 보이콧 한 점에 대해 매우 유감스럽게 생각한다"며 "6·10 항쟁이 없었다면 오늘의 윤석열 대통령도 오늘의 정권도 없었다는 점을 직시해야 한다"고 밝혔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우리 아기가 태어났어요]신세계병원 덕담
"하루 32톤 사용"…윤 전 대통령 관저 수돗물 논란, 진실은?
'이재명 선거법' 전원합의체, 이례적 속도에…민주 "걱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