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명 중 2명은 1년 안에 집을 살 의향이 있다는 것으로 조사됐다. 여전히 금리가 높지만, 기준금리 동결이 이어지고 급매 거래가 이뤄지면서 매수를 고려하는 수요가 늘어난 것으로 해석된다.
12일 부동산 플랫폼 '직방'이 자사 애플리케이션(앱) 이용자 1천56명을 대상으로 지난달 17일부터 31일까지 모바일 설문을 진행한 결과 전체 응답자의 68.7%는 올해 하반기와 내년 상반기에 주택을 매입할 계획이 있다고 답했다. 이는 2020년 11월(69.1%) 이후 2년 7개월 만에 최고치이자, 금리 인상과 집값 하락 우려가 있던 작년 11월(60.2%)에 비해 8.5%포인트(p) 상승한 수치이다.
거주 지역별로는 지방(74.7%), 인천(73.4%), 서울(67.5%), 경기(65.4%) 순이었으며 대구를 비롯한 5대 광역시는 68.5%였다. 지난해 11월 조사 결과와 비교하면 모든 지역에서 매입 의향이 늘었다.
주택을 매입하려는 이유로 '전·월세에서 자가로 내 집 마련'(47.4%)을 가장 많이 꼽았다. 이어 거주지역 이동(18.2%), 면적 확대·축소 이동(12.6%), 시세 차익 등 투자 목적(9.7%), 거주 구성원 변경으로 합가·분가 등(6.6%), 임대 수입 목적(2.2%) 등의 순을 보였다.
이 가운데 '전·월세에서 자가로 내 집 마련'과 '시세 차익 등 투자 목적' 응답 비중은 지난해 11월 조사와 비교해 각각 2.5%p, 3.5%p 증가해 실거주 매수와 투자 매수 의향이 동시에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주택 매입 계획이 없다'는 응답자들은 그 이유로 '주택 가격이 너무 비싸서'(31.1%)를 가장 많이 들었다. 지난해 말에는 '가격이 하락할 것 같아서'가 33.0%로 최다 응답이었다. 지난해 하반기부터 하락세를 보이며 저가 매물 거래가 늘어나는 등 가격이 하향 조정됐지만 아직도 비싸다는 인식에 수요자들이 매입을 망설이는 것으로 풀이된다.
향후 1년 내 주택을 팔 계획이 있다는 응답자는 전체의 41.6%를 차지했다. 역시 작년 11월 조사 결과보다 1.4%p 올랐다. 지역별로는 5대 광역시가 47.6%, 지방(47.5%), 인천(43.6%), 경기(40%), 서울(34.9%) 순이었다. 이는 급매 거래 후 가격회복을 기대하는 수도권보다 후발로 가격 약세가 나타날 것으로 예측되는 지방권역에서 매도 의사가 더 높게 나타난 것으로 보인다.
지난해 하반기와 내년 상반기에 주택 매도 계획이 있는지에 대한 질문에는 전체 응답자 중 41.6%가 '있다'로 응답했다.했다. 지방 5대광역시(47.6%) 지방(47.5%) 인천(43.6%) 경기(40.0%) 서울(34.9%) 순으로 매도 계획 응답 비율이 높았다. 수도권보다 지방권역에서 매도 의사가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주택 매도 계획이 없는 이유는 '실거주(1가구 1주택)나 주택 보유하고 있지 않아서'가 50.1%로 가장 많았다. '적절한 매도 타이밍을 지켜보려고'가 21.6%로 그 다음이었으며 '주택 가격이 오르거나 회복되는 것 같아서'를 택한 예도 11.0%에 달했다.
이호연 직방 매니저는 "주택 매입 의사가 늘어나고 특히 실거주와 투자 목적 수요가 모두 증가한 만큼 지난 2~3년 수준의 급격한 가격 상승과 거래량 급증까지는 아니지만 저가 매물이나 가격 회복이 기대되는 곳을 위주로 꾸준히 거래가 이뤄질 것"이라고 전망했다.ㅍㅍㅍㅍㅍㅍㅍㅍ
댓글 많은 뉴스
전한길 "탄핵 100% 기각·각하될 것…尹 복귀 후 개헌·조기총선 해야"
앞치마 두른 'BTS 진', 산불피해지역 안동 길안면서 급식 봉사
헌재 전원일치로 윤석열 대통령 파면 [전문]
"헌재 결정 승복 입장 변함없나" 묻자…이재명이 한 말
'계엄, 1만명 학살 계획' 이재명 주장에 尹측 "이성 잃은 듯, 경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