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포스코 수소환원제철 국가백년대계…모든 정책 역량 집중해 지원"

정부 친환경 공법 전환 적극 지원
탈탄소화 핵심적 기술 개발…철강업계에 1204억원 투입
"제2의 영일만 기적 기대감"…부지 확보·일부 반대 걸림돌

포스코 포항제철소에서 생산한 스테인리스 냉연 코일 제품. 포스코 제공
포스코 포항제철소에서 생산한 스테인리스 냉연 코일 제품. 포스코 제공

포스코의 수소환원제철 공법 전환을 위해 정부가 적극 지원키로 했다.

산업통상자원부 황수성 산업기반실장은 14일 포스코 포항제철소를 방문, 탄소다배출 업종인 철강업계의 탄소중립 대응 노력을 점검하면서 "모든 정책 역량을 집중해 지원하겠다"고 약속했다.

포스코의 수소환원제철소 건설은 국가 경제적 측면에서나 포스코의 지속가능한 도약을 위해 반드시 필요한 사업이다.

포스코는 이날 산업부와의 간담회에서 2025년까지 자사의 수소환원제철 기술인 '하이렉스'(HyREX) 설계기술을 확보하고, 2030년까지 100만 톤(t)급 실증 생산설비 개발을 완료하겠다는 일정표를 제시했다. 포스코는 2050년까지 현재의 탄소 기반 제철설비를 모두 수소환원제철 방식으로 전환할 계획이다.

현재 포스코 등 세계 주요 제철사가 쓰는 전통적 고로(용광로) 공정은 철 생산과정에서 가공된 유연탄인 코크스로 철광석의 산소를 제거해 대량의 이산화탄소가 발생한다.

반면 수소환원제철은 탄소 덩어리인 코크스 대신 수소를 이용하는 방식이라 이산화탄소 대신 물을 배출해 획기적으로 탄소 감축이 가능하다. 철강산업은 탄소를 가장 많이 배출하는 업종이어서 공정 전환을 통한 탄소 배출 감축 목표 달성이 국가적으로도 중요하다.

다만 수소환원제철 상용화를 위해서는 여러 기술적 난관을 해결하고 실증을 거쳐 경제성을 확보해야 하는 등 극복해야 할 과제가 많은 상황이다. 한국의 2050년 산업 부문 탄소배출 감축 목표는 2018년 대비 2억1천만t인데, 이 중 약 40%(8천630만t)가 수소환원제철 도입을 통해 가능할 것으로 정부는 기대하고 있다.

산업부는 내달 '탄소중립 산업 핵심기술 개발사업' 연구수행 기관을 선정해 기술 개발 지원에 본격 착수하는 등 이 같은 철강업계의 노력을 본격적으로 도울 계획이다. 올해부터 2030년까지 해당 사업에는 국비 6천947억원이 투입되며, 이 가운데 1천204억원이 포스코 등 철강업계에 지원된다.

포스코의 수소환원제철 공법 전환의 가장 큰 걸림돌은 용지 확보가 관건이다. 포스코는 포항제철소 동쪽 공유수면(132만2천300여㎡)을 매립해 용지를 확보할 계획이다.

그러나 포항의 일부 시민·환경단체는 수중 생태계 파괴를 우려하며 수소환원제철소 건립에 반대하고 있다.

반면 포항 경제계는 포화상태에 이른 포항제철소 부지 문제가 앞으로도 계속 포항의 발목을 잡아 전남 광양을 비롯한 타 지역에 투자 기회를 뺏길 수 있다는 위기감을 갖고 있다.

포항상의 관계자는 "공장을 지을 땅이 없어 광양으로 넘어간 2차전지 전기강판의 전철을 수소환원제철소마저 되풀이해서는 안 된다"며 "수소환원제철소를 건립해 제2의 영일만 기적을 이룰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