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일본에서 돌아온 고려시대 사경(寫經) ‘묘법연화경 권제6’ 공개

묘법연화경 내용을 금·은색 안료로 필사
14세기 말 고려 사경 특징 잘 보여줘

15일 서울 종로구 국립고궁박물관에서 열린 고려시대 사경(寫經)인
15일 서울 종로구 국립고궁박물관에서 열린 고려시대 사경(寫經)인 '묘법연화경 권제6'(妙法蓮華經 卷第6) 언론공개회에서 사경이 공개되고 있다. 연합뉴스

700여 년 전 부처님의 가르침을 금·은니(金·銀泥)로 옮겨 적은 고려시대 불교 경전이 일본에서 돌아왔다.

문화재청과 국외소재문화재재단은 15일 서울 종로구 국립고궁박물관에서 지난 3월 일본에서 환수한 고려시대 사경(寫經)인 '묘법연화경 권제6(妙法蓮華經 卷第6)'을 공개했다.

사경은 불교 경전을 옮겨 적는 작업이나 그러한 경전을 뜻한다. 본래 불교 교리를 널리 알리기 위해 제작했으나, 인쇄술이 점차 발달한 뒤에는 바라는 바를 빌면서 공덕을 쌓는 방편으로 여겨졌다. 특히 고려시대에는 국가 발전과 개인 안녕을 비는 사경이 성행했고, 불교 경전을 옮겨 적는 일을 담당하던 국가 기관인 사경원(寫經院)이 운영되기도 했다.

이번에 환수한 사경은 부처가 되는 길이 누구에게나 열려있다는 사상을 기본으로 한 경전 '묘법연화경'의 내용을 금·은색 안료를 써 필사한 것이다. 감색 종이를 활용한 이 경전은 병풍처럼 접었다 펼 수 있는 형태다. 접었을 때는 가로 길이가 9.5㎝이나 모두 펼치면 10.7m에 달한다.

이 사경은 14세기 말 고려 사경의 특징을 잘 보여준다는 평가를 받는다. 경전의 내용을 압축해서 보여주는 변상도(變相圖)는 특히 세밀한 묘사가 두드러진다. 화면 오른쪽에는 묘법연화경을 설법하는 석가모니불을 중심으로 아난존자, 가섭존자 등이 담겨 있다. 1∼2㎜ 정도 될 법한 가느다란 선으로 완성한 그림이다.

총 108면에 걸쳐 이어지는 경문(經文) 역시 주목할 만하다. 한 면당 6행씩, 행마다 17자의 글자가 적힌 경문에는 다양한 서법이 혼재된 것으로 파악된다.

김종민 문화재청 문화재감정위원은 "동아시아 삼국 가운데 가장 융성했던 고려의 사경 문화를 보여주는 유물이자 고려시대 중·후반 사경의 변화 과정을 보여주는 작품"이라고 강조했다.

이번에 환수한 사경은 지난해 6월 일본인 소장자가 재단에 유물을 매도하겠다는 의사를 전하면서 처음 존재가 확인됐다. 소장자는 2012년 고미술상 경매에서 사경을 구입한 뒤 보관해온 것으로 조사됐다.

문화재청과 재단은 추가 조사와 협상을 진행한 뒤 복권기금을 활용해 사경을 국내로 들여왔다. 유물은 국립고궁박물관에서 보관, 관리할 예정이다.

최응천 문화재청장은 "700년에 가까운 시간이 흘렀음에도 보존 상태가 양호해 앞으로 다양한 연구와 전시 등에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며 "향후 고려 사경과 관련한 연구가 확장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