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50년 후 고령인구 비중 한국이 OECD 1위…인구 절반이 65세 이상

서울 마포구 서부고용복지플러스센터에서 한 노령 구직자가 일자리 정보 게시판을 살펴보는 모습. 연합뉴스
서울 마포구 서부고용복지플러스센터에서 한 노령 구직자가 일자리 정보 게시판을 살펴보는 모습. 연합뉴스

50년 뒤 국내 인구의 30%가 75세 이상 노인이 돼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주요 회원국 가운데 고령 인구 비중이 가장 높을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16일 통계청은 이 같은 내용을 담은 '고령자의 특성과 의식 변화'를 공개했다. 통계청 장래인구추계에 따르면 한국 전체 인구에서 65세 이상 인구 비중은 올해 18.4%로 예상된다. 이 가운데 75세 이상 인구 비중은 7.7%로 65~74세(10.7%)보다 낮다. OECD 주요 회원국과 비교하면 일본(17.0%), 이탈리아(12.7%), 영국(9.6%), 미국(7.4%) 등보다 낮은 수준으로 파악된다.

그러나 이후 75세 이상 인구 비중이 점점 늘어나 2037년에 16.0%로 65~74세 비중(15.9%)을 웃돌고, 2070년에는 30.7%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약 50년 뒤 한국인 10명 중 3명이 75세 이상 노인이 된다는 뜻이다. 이는 일본(25.6%), 스페인(24.8%), 이탈리아(24.1%), 폴란드(22.6%), 미국(16.0%) 등 OECD 주요 회원국 가운데 가장 높은 비중이다.

고령화 속도도 다른 나라에 비해 더 빠를 것으로 보인다. 65세 이상 인구 비중은 2037년 31.9%, 2070년 46.4%가 될 것으로 예측됐다.

앞으로 고령 인구의 경제력이 문제로 대두할 공산이 커 보인다. 상대적 빈곤율은 개선되고 있지만, 과반이 현재 소득으로 턱없이 부족하다고 느끼고 있어서다.

지난해 기준으로 장래 근로를 희망하는 65~74세, 75~79세 고령자는 각각 59.6%, 39.4%였다. 10년 전보다 각각 11.9%포인트(p), 11.8%p 증가했다. 장래 근로를 희망하는 65~74세 고령자 중 53.9%가 취업을 희망하는 이유로 '생활비에 보탬'을 꼽았다. 75~79세 고령자의 경우는 50.5%였다.

2021년 기준 상대적 빈곤율은 66세~75세 30.5%, 76세 이상은 51.4%로 10년 전보다 13%p, 3.9%p 감소했다. 그럼에도 66~75세와 76세 이상 고령자의 상대적 빈곤율 격차는 20%p를 웃돌았다.

평균 생활비와 비교했을 때 실제 소득이 부족하다고 생각하는 65~74세, 75세 이상 가구는 각각 59.3%, 63.8%였다. 10년 전보다 오히려 각각 1.8%p, 2.2%p 증가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