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농업소득 두배로"…경북도, '농업 대전환' 본격 시동

이철우 지사, 청년 농업 위해 첨단과학을 기반으로 한 기계화·규모화 필수

경북도는 19일 문경 영순면 율곡리 혁신농업타운 들녘에서 도내 시군과 함께 농업 대전환 성공 염원을 담은 콩 파종 행사를 하고, CJ프레시웨이와 농산물 판로 확대를 협력하는 협약을 맺었다. 경북도 제공
경북도는 19일 문경 영순면 율곡리 혁신농업타운 들녘에서 도내 시군과 함께 농업 대전환 성공 염원을 담은 콩 파종 행사를 하고, CJ프레시웨이와 농산물 판로 확대를 협력하는 협약을 맺었다. 경북도 제공

경북도가 '농업 소득 두배'를 목표로, 기계화와 규모화 등 농업 대전환에 본격적으로 나섰다.

경북도는 19일 문경 영순면 율곡리 혁신농업타운 들녘에서 도내 시군과 함께 농업 대전환 성공 염원을 담은 콩 파종 행사를 하고 농업 대전환 기치를 올렸다.

영순 들녘은 지난해 혁신농업타운 공모에 뽑힌 공동영농 사업지구로 늘봄영농조합법인이 중심이 돼 110㏊에 마을 80 농가가 공동영농을 한다. 지주는 조합원으로 참여하고 작목 선택과 경영은 법인이 맡는다.

기존 1년 동안 벼농사를 한 번만 하던 이 들녘은 이제 하절기는 벼 대신 콩을, 동절기는 양파와 감자를 심는 2모작으로 전환하고 있다.

공동영농에 필요한 선별장, 보관창고 등 시설과 대형 농기계는 혁신농업타운 사업비로 지원된다.

경북도는 연간 13억원에 머물던 이곳 총생산액도 대전환을 통해 45억원으로 기존보다 약 4배 증대되고 농가소득은 2배까지 늘어날 것으로 분석한다.

공동영농을 통한 수익은 평당 3천원씩 참여 면적만큼 조합원(참여 농가)에게 연말쯤 기본 배당금으로 지급된다. 기본 배당금 외에도 영농활동에 참여하면 인건비(하루 9만∼30만원)를 받고 매출 확대 때는 추가 배당도 이뤄진다.

밭작물을 중심으로 공동경영하는 지역은 많지만, 법인이 책임 경영하고 수익을 확정해 배당하는 경우는 첫 사례라고 경북도는 설명했다.

개별농가 단위로는 2모작이 어렵지만 공동으로 하면 기계화가 가능해 규모화된 2모작을 할 수 있고, 생산성과 소득이 획기적으로 올라가는 만큼 성과 분석을 거쳐 확산할 방침이다.

경북도는 떠 농업 대전환으로 농업에 첨단 과학을 접목, 기계화가 가능하도록 규모화할 예정이다.

우선 혁신농업타운 3곳(구미, 문경, 예천)과 들녘 특구 4곳(포항, 경주, 구미, 울진)에 노지작물 2모작 공동영농을 중점 추진하고 있다.

앞으로 시설원예는 첨단화 및 규모화해 스마트화율을 2030년까지 50%(4천500㏊)까지 확대할 계획이다. 생산량과 상품성 향상, 노동력 절감을 위한 노지작물 스마트화를 위해 시범단지(안동 사과, 의성 마늘)를 조성 중이며 앞으로 품목을 확대한다.

이철우 경북도지사는 "청년들이 농촌에서 미래를 설계하기 위해서는 첨단과학을 기반으로 한 기계화와 규모화가 필수"라며 "농업 대전환이 성공적인 열매를 맺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이날 현장에서는 도와 시군, CJ프레시웨이가 농산물 판로 확대 등에 협력하는 협약을 체결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