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인구 정책 범부처 협의체 '인구정책기획단'을 구성하고 인구 구조 변화에 대한 대응을 강화하기로 했다.
정부는 19일 정부세종청사에서 출범식을 통해 기획단을 발족하고 첫 회의를 열었다.
기획단은 인구정책과 관련한 부처 간 연계와 협력을 강화하는 역할을 한다.
인구 정책의 범위를 저출산·고령화 대응을 넘어 인구 구조 변화로까지 확대해 검토·추진할 계획이다.
기획단의 단장은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 상임위원, 기획재정부 제1차관, 보건복지부 제1차관이 공동으로 맡았다.
이어 교육부, 고용노동부, 여성가족부, 국토교통부, 행정안전부, 국방부, 법무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업통상자원부, 중소벤처기업부, 문화체육관광부, 농림축산식품부, 해양수산부, 국무조정실, 금융위원회, 통계청 등 인구 정책 관계 부처가 참여했다.
기획단은 ▷저출산 완화 ▷고령사회 대응 ▷축소사회 대응 ▷경제활동인구 확충 등 4개 분야에서 11개 작업반을 두고 주요 의제를 논의한다.
저출산·고령사회 대응정책 분과는 3월 말 있었던 대통령 주재 제1차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에서 정한 정책 방향에 따라 돌봄·교육, 주거, 고용 등 정책을 구체화하고 신규 정책과 고령사회 의료·돌봄 연계 등 과제를 발굴할 계획이다.
인구구조 변화 대응정책 분과는 국가제도 전반에 걸쳐 육아친화형으로 재설계를 검토하고, 고령 인력의 생산성 제고와 우수 외국인력 도입 확대 등 경제활동 인구 확충 방안을 마련한다.
지역소멸, 학령인구·병역자원 감소에 대한 대응 방안도 도출하기로 했다.
기획단은 우선 추진 과제와 준비 중인 대책에 대한 일정과 내용을 순차적으로 발표할 계획이다.
김영미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 부위원장은 회의 모두발언에서 "인구정책기획단을 통해 인구 위기 대응의 골든타임인 향후 10년의 중장기 미래 전략을 수립하고 우선 추진 과제들을 촘촘히 챙기겠다"며 "전 부처가 경계를 넘어 혁신적 정책 발굴에 주력하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이기일 보건복지부 제1차관은 "초저출산 극복, 초고령사회 대응, 인구구조 변화로 인한 사회문제 대응을 위해 전 부처가 역량을 집중한다는 의미가 있다"며 "국민에게 체감도 높은 정책을 발굴하겠다"고 강조했다.
방기선 기획재정부 제1차관도 "이제 과거의 익숙한 사고와 정책대응에서 벗어나 모든 정책분야를 망라한 창의적이고 획기적인 사고의 전환이 필요하다. 인구정책기획단이 이러한 해법을 이끌어내는 선도적인 역할을 할 것"이라며 "향후 인구 구조 변화에 따른 사회경제적 충격과 위험요인을 철저히 분석·대응하겠다"고 말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국정원, 中 업체 매일신문 등 국내 언론사 도용 가짜 사이트 포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