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연복·백종원 등 요식업계 유명 인사들을 전면에 세운 두 예능 프로그램이 24일과 25일 각각 종영하지만 앞서 비슷한 형식의 예능이 거듭 소비된 탓에 큰 화제가 되지는 못했다.
24일 방송가에 따르면 굿데이터코퍼레이션이 매주 어떤 프로그램이 화제가 됐는지 분석해 발표하는 '비드라마 부문 TV 화제성 TOP 10'에서 이연복의 '한국인의 식판'(JTBC)과 백종원의 '장사천재 백사장'(tvN)은 한 차례도 10위 안에 들지 못했다.
시청률도 다소 아쉬운 수치를 기록했다. '장사천재 백사장'은 세 차례 5%대를 기록한 것 외에는 대부분의 회차가 4%대에 머물렀고, '한국인의 식판'은 2∼3%대에 그쳤다.
아주 낮은 수치는 아니지만, 방송가에서 높은 인기를 누리는 백종원과 이연복을 내세운 것 치고는 아쉬운 성적이라는 평가가 나온다.
'한국인의 식판'과 '장사천재 백사장'은 인지도가 높은 전문가를 출연시킨 것 외에 차별적인 상황과 소재를 내세워 이목 끌기를 시도했다.
'한국인의 식판'은 외국에서 일반적인 식당을 운영하는 것이 아니라 급식형으로 음식을 제공한다는 점이 기존 예능 프로그램과 달랐다.
국내 최고 중식 전문가로 손꼽히는 이연복 셰프가 많게는 300인분에 달하는 단체식을 만드는 과정이 긴장감과 재미를 유발했다.
'장사천재 백사장'은 백 대표가 모로코와 이탈리아 나폴리에서 한식을 파는 과정을 담았다. 이미 '골목식당' '푸드트럭' 등에서 장사 노하우를 선보인 백 대표가 자신의 명성이 통하지 않는 환경에서 장사하도록 하는 등 설정에도 신경을 썼다.
하지만 과거에 비슷한 형식의 예능이 반복돼 '한국인의 식판'과 '장사천재 백사장'이 시청자의 관심을 끄는 데도 한계가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해외 쿡방'은 나영석 PD의 '윤식당'이나 '서진이네' 시리즈 외에 2019년 이연복 셰프가 출연했던 tvN의 '현지에서 먹힐까'에서도 활용된 형식이다.
'장사천재 백사장'과 '한국인의 식판' 영상 편집본을 게재한 각 방송사 유튜브 채널에서 일부 시청자들은 "해외에서 한식 만드는 프로그램이 우후죽순 생겨난다", "비슷한 예능이 엄청나게 나온다"고 지적하기도 했다.
정덕현 대중문화평론가는 "셰프가 외국에 나가 한식을 선보이고, 그것을 먹고 외국인이 반응하는 모습을 비추는 것은 대중에게 이미 익숙한 포맷인 만큼 한계점이 분명하다"고 지적했다.
다만 정 평론가는 "소재나 형식이 달라지지 않았더라도 이야기에 변화가 있다면 의의를 둘 수 있다"며 "'장사천재 백사장'의 경우 기존 프로그램들이 예능적 재미에만 집중했던 한계를 벗어나려 리얼리티를 추구하고 노력을 기울였다"고 평가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우리 아기가 태어났어요]신세계병원 덕담
"하루 32톤 사용"…윤 전 대통령 관저 수돗물 논란, 진실은?
'이재명 선거법' 전원합의체, 이례적 속도에…민주 "걱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