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대통령은 22일부터 24일까지 이어진 베트남 국빈 방문에서 국가주석과의 정상회담 및 최고지도부와의 개별 면담 등을 통해 안보·경제 협력을 강화하기로 했다.
프랑스-베트남으로 이어지는 순방을 위해 지난 19일 출국한 윤 대통령은 20일 파리에서 2030 부산세계박람회(엑스포) 유치 활동 및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과 정상회담 등 일정을 소화한 뒤 22일 베트남으로 이동, 국빈 방문을 마무리하고 24일 귀국했다.
윤 대통령은 22일 베트남 도착 후 동포 오찬 간담회를 시작으로, 한·베트남 문화교류의 밤, 동행 경제인 만찬 간담회 등 공식 일정을 소화했다.
이어 23일엔 보 반 트엉 국가주석과의 정상회담을 비롯해 베트남 권력 서열 1위인 응우옌 푸 쫑 공산당 서기장, 팜 민 찐 총리, 브엉 딩 후에 국회의장 등 최고지도부와 개별 면담했다.
특히, 이번 베트남 방문에는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 최태원 SK그룹 회장,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 구광모 LG그룹 회장 등 재계 총수를 포함, 윤 정부 최대 규모인 205명의 경제사절단이 동행해 눈길을 끌었다.
23일 베트남 진출 한국 기업인 오찬에 참석한 윤 대통령은 "경제 이슈가 없는 외교는 안 하려 한다"고 말했고, 한·베트남 비즈니스 포럼에서는 역대 최다인 111건 업무양해각서(MOU)가 체결됐다.
윤 대통령은 이번 국빈 방문을 통해 아세안(ASEAN·동남아시아국가연합)의 핵심 협력국이자 희토류 매장량 2위 자원 부국인 베트남과 안보·공급망 측면에서도 전략적 협력을 강화하기로 했다.
윤 대통령은 23일 보 반 트엉 베트남 국가주석과 정상회담에서 외교안보 전략적 소통 강화, 방위산업 협력 확대, 유·무상원조 확대, 핵심광물 공급망센터 설립 등에 합의했다.
북핵 문제와 관련해 베트남의 '한반도 비핵화' 언급을 끌어낸 것도 이번 국빈 방문의 성과 중 하나로 꼽힌다. 베트남이 중국과 영유권 갈등을 벌이고 있는 남중국해 문제와 관련해서도 양국은 해경 퇴역함정 양도 등 협력을 강화하기로 했다.
김태효 국가안보실 1차장은 브리핑을 통해 "지난 30년 간 경제 협력을 통해 성장해온 한·베트남 관계는 한반도, 동남아, 인태 지역의 평화 구축을 위해 안보 협력을 구축해 나갈 수 있는 단계에 이르렀다"며 "우리와 상이한 정치 체제인 베트남이 주요 안보 파트너로서 역내 평화 구축에 함께 힘을 모을 걸로 기대된다"고 설명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국정원, 中 업체 매일신문 등 국내 언론사 도용 가짜 사이트 포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