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라면 판매 프로모션도 안하네요", 소득 상승에 비해 라면 물가 3배 뛰었다

1분기 처분가능소득 3.4% 증가, 라면 물가, 외식 등 상회 상승
저소득층 처분가능소득은 1.3% 증가 그쳐 먹거리 부담 더 커

소득 증가 폭에 비해 먹거리 물가 부담이 훨씬 커지면서 최근 정부의 라면 가격 인하 권고에 대한 식품 기업들의 반응에 시선이 쏠리고 있다. 사진은 26일 한 대형마트의 라면판매대 모습. 연합뉴스
소득 증가 폭에 비해 먹거리 물가 부담이 훨씬 커지면서 최근 정부의 라면 가격 인하 권고에 대한 식품 기업들의 반응에 시선이 쏠리고 있다. 사진은 26일 한 대형마트의 라면판매대 모습. 연합뉴스

즉석 조리식품, 라면, 음료수 등을 구입하기 위해 주말 대형마트를 찾은 김모씨는 라면 진열 코너에서 한참을 서 고민에 빠졌다.

2천원 대에도 살수있었던 라면들이 최소 3천원 이상 가격이 크게 올랐고 매주 업체들마다 앞다퉈 진행했던 묶음상품 할인 이벤트도 없었기 때문이다.

김씨는 "매달 라면을 사면서 이번만큼 정말 가격이 많이 올랐구나 체감한 적이 없었다. 이전 가격을 아는 데 오른 가격을 보니 선듯 손이 가지않는다"고 말했다.

올해 1분기 라면의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전체 가구 소득 증가율에 비해 3배 뛰는 등 물가 상승률이 무섭다. 빵과 과자, 아이스크림 등 식품류 모두 같은 기준 3∼4배 수준으로 뛰었다.

소득 증가 폭이 작은 저소득층은 장바구니·외식 물가 부담이 더 크게 다가오고 있다.

26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에 따르면 올해 1분기 전체 가구의 처분가능소득은 399만1천원으로 지난해 동기 대비 3.4% 늘었다. 처분가능소득은 전체 소득에서 세금과 연금, 사회보험 등을 뺀 것으로 소비나 저축에 쓸 수 있는 '여윳돈'이다.

하지만 올해 1분기 먹거리 물가 상승 폭은 처분가능소득 증가율보다 훨씬 컸다.

대표 먹거리 물가 품목인 가공식품과 외식의 물가 상승률은 9.9%와 7.5%로 처분가능소득 증가율의 2.9배, 2.2배였다. 가공식품의 경우 세부 품목 73개 가운데 물가 상승률이 처분가능소득 증가율을 상회하는 품목이 87.7%인 64개에 달했다.

이 중 치즈(32.8%), 드레싱(29.1%), 식용유(28.8%) 등 8개 품목은 물가 상승률이 20%가 넘었다. 빵(14.3%)과 스낵과자(13.1%), 라면(12.4%), 아이스크림(11.8%), 파이(11.0%) 등은 10%가 넘었다.

물가 상승의 기준이 되는 라면의 경우 올해 1분기 물가 상승률이 글로벌 금융위기 때인 2008년 4분기(14.7%) 이후 15년 만에 최고였고, 아이스크림도 2009년 2분기(14.5%) 이후 가장 높았다.

이와 함께 피자(10.5%)와 라면(외식)(10.4%), 김밥(10.4%), 떡볶이(10.0%), 돈가스(10.0%) 등 평소 서민들이 자주 즐기는 외식 품목도 10%가 넘었다.

저소득층의 경우 먹거리 부담은 더 커졌다.

소득 하위 20%(1분위)의 1분기 처분가능소득은 85만8천원으로 지난해 동기 대비 1.3% 증가하는 데 그쳤다.

같은 기간 가공식품과 외식 물가 상승률은 1분위 처분가능소득 증가율의 7.6배, 5.8배였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