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윤 대통령 "디지털‧물리 공간인 퀀텀 플랫폼 만들겠다"

27일 세계적 석학 등과 '양자과학기술 현재와 미래의 대화' 주재

윤석열 대통령이 27일 서울 동대문디자인플라자(DDP)에서 열린
윤석열 대통령이 27일 서울 동대문디자인플라자(DDP)에서 열린 '양자과학기술 현재와 미래의 대화'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윤석열 대통령은 27일 "우리나라를 비롯한 세계 각국의 퀀텀(양자) 전문가, 법률‧회계‧비즈니스 전문가들이 함께 연구·개발하고 성과를 공유해 경제적 가치를 창출하는 디지털‧물리 공간인 퀀텀 플랫폼을 만들겠다"고 밝혔다.

윤 대통령은 이날 서울 동대문디자인플라자에서 열린 '양자과학기술 현재와 미래의 대화'에서 "퀀텀 기술의 막강한 파급력을 고려할 때 지난주 파리 '디지털 비전 포럼'에서 제시한 디지털 윤리 원칙 및 규범이 퀀텀기술에도 적용돼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윤 대통령은 이날 '대한민국 퀀텀의 길을 묻다'라는 주제로 참석한 양자과학기술 분야 주요 석학과 미래세대들과 양자과학기술이 가져올 미래와 우리가 나아갈 길에 대해 논의했다.

앞서, 지난 1월 스위스 연방공대 양자 석학과의 대화에서 윤 대통령은 한국 양자과학기술 대도약 원년을 선포한 바 있다.

이날 행사는 한국이 양자 분야에 본격적으로 뛰어들고 있는 상황에서, 세계 무대에서 활약 중인 양자 석학들과 함께 양자과학기술 분야의 육성 방향을 논의하고 글로벌 생태계 조성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개최됐다.

윤 대통령은 이날 행사 후 참석자들과 함께 2023 퀀텀코리아 행사에 전시돼 있는 양자컴퓨터 모형, 양자센서를 활용한 뇌자도 측정장비 등을 둘러보며 양자과학기술의 현황과 미래 발전 방향에 대해 이야기를 나누기도 했다.

이날 대화엔 양자 관련으로 2022년 노벨 물리학상을 받은 존 클라우저 박사와 최초로 양자 암호 시스템을 구축해 울프상과 브레이크쓰루상을 받은 찰스 베넷 박사, 김명식 영국 임페리얼 칼리지 교수, 나스닥 상장기업인 IonQ 공동창업자인 김정상 교수(미 듀크대) 최순원 미국 MIT 교수, 김영석 박사(IBM) 등 양자과학기술을 대표하는 7명 석학, 관련 전공 대학생 20명, 젊은 연구자 7명 등이 참석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