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2050년 대구경북 인구 400만…2070년 우리나라 인구 26.7%↓

1985년 대비 현재 대구 서구 59.7%↓, 남구 48.8%↓
경북은 포항, 구미, 경산, 칠곡만 40여 년 전보다 인구 증가

대구 앞산에서 본 대구 전경. 매일신문 DB
대구 앞산에서 본 대구 전경. 매일신문 DB

전 세계적으로도 유례를 찾아보기 힘든 한국의 급격한 초저출산은 인구 절벽, 경기 침체 등 우리 사회에 미칠 다양한 어려움을 예고하고 있다.

인구 구조의 변화는 필연적으로 사회, 경제, 교육, 문화 등 생활 전반에 영향을 주게 된다. 다만 수도권보다는 지방이, 젊은 층을 대상으로 한 산업이 인구 구조 변화로 인한 어려움에 가장 먼저 직면할 가능성이 높다. 인구 감소로 인한 여파는 모두가 평등하게 영향을 받진 않기 때문이다.

이런 전망을 반영하듯 각종 지표는 멀지 않은 미래에 대구경북에 암울한 상황이 펼쳐질 것이라 전망한다.

매일신문은 장기 기획을 통해 인구 구조 변화로 각 세대는 어떤 상황을 맞게 될지, 초저출산을 반등시킬 방안은 없는지 등을 살펴보고자 한다. 아울러 기존 인구 부양책, 저출산 대응책에 한계는 없는지를 다룰 예정이다. 〈편집자 주〉

지금과 같은 초저출산이 이어진다면 47년 뒤인 오는 2070년에는 지금 인구의 26.9%가 사라질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통계청에 따르면 우리나라 총 인구는 2023년 현재 5천155만8천여 명에서 오는 2050년 4천735만8천여 명, 2055년 4천515만1천여 명, 2070년 3천765만5천여 명으로 점차 감소한다.

대구 인구는 지난 2003년 252만9천544명으로 역대 최고치를 기록한 뒤 올해 5월 기준 235만7천32명으로 급격한 감소세를 보였다.

서대구산업단지와 염색산업단지 굴뚝이 쉴 줄 모르던 1985년 39만 명을 넘겼던 서구는 올해 15만9천 명으로 반 토막(1985년 대비 -59.7%)났고, 같은 기간 중구(-54.3%), 남구(-48.4%)도 소멸 일로를 걷고 있다.

경북은 더욱 심각하다. 1980년 495만4천559명까지 늘었지만, 이듬해 승격한 대구직할시가 분리독립한 뒤로 점차 줄어 43년 만인 올해 5월 259만726명으로 감소했다.

상당수 시·군이 인구수 부침을 반복한 가운데 포항시, 구미시, 경산시, 칠곡군만 40여 년 전보다 올해 인구가 증가했고, 그 외 나머지 전 지역이 인구 감소를 겪었다. 이 기간 영양군(-63.4%), 봉화군(-61.8%), 의성군(-59.1%), 청송군(-57.0%), 영덕군(-55.6%)은 인구가 절반 이상 줄었다.

대구 또는 그 위성도시 격인 경산, 칠곡에 인구를 내어주고 포항, 구미 등 양질의 일자리가 밀집한 역내 중소도시에 몰린 영향으로 보인다.

통계청 인구추계(기본 추계)에 따르면 대구와 경북 인구는 오는 2050년 이후 각각 180만7천68명(-23.3%)과 225만705명(-12.9%)으로 하락할 전망이다.

통계청이 관련 집계를 시작한 1993년 전국 합계출산율(여성 1명이 15~49세 가임 기간 낳을 것으로 예상되는 평균 출생아 수)은 1.65명이었다. 당시 대구와 경북의 합계출산율은 각각 1.56명과 1.61명이었다.

이 수치는 점차 줄어 전국 합계출산율이 2017년 1.05명에서 2018년 0.98명으로 줄었다. 여성 1명이 아이 1명을 채 낳지 않는 시대가 온 것이다.

지난해 출생아 수는 전국 24만9천명, 대구 1만100명, 경북 1만1천300명으로 잠정 집계됐다. 1985년 출생아 수(전국 65만5천489명, 대구 2만9천632명, 경북 4만5천271명)와 비교하면 경북은 3분의 1도 되지 않는 수준이다.

박은희 대구정책연구원 사회문화연구실 연구위원은 "인구는 감소하되 고령인구는 많아지며 유소년 인구도 물론 줄어들 것이다. 부양자보다 피부양자가 많아 여러 분야에서 혼란이 있을 것"이라며 "다만 이민 정책으로 타 국가에서 다문화 인구가 유입되거나 또 다른 형태의 가족들이 형성된다면 인구 문제가 극복될 수도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