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라시대에 창건된 사찰인 경주 흥륜사 터 인근에서 고려시대 청동 유물이 대거 나왔다.
문화재청은 "경주 흥륜사 터 서편에서 하수관로 설치공사를 위한 발굴조사 도중 통일신라에서 고려시대에 이르는 사찰 건물지와 담장지, 우물 등의 유적과 청동 공양구 등 다양한 유물을 확인했다"고 5일 밝혔다.
흥륜사(興輪寺)는 '삼국유사'에 기록된 신라 칠처가람(七處伽藍) 중 하나로, 신라에 불교를 처음 전한 고구려 승려 아도화상이 창건했다. 이차돈의 순교 이후 중창돼 국가 대사찰로 유지되다가 조선시대에 소실된 것으로 추정된다.
이 절터는 국가지정문화재 사적 '경주 흥륜사지'로 지정돼 있지만 학계에서는 영묘사 터로 보고 있다. 이곳 주변에서 '영묘지사'(靈廟之寺)라고 적힌 기와가 다수 나왔기 때문이다.
이번 조사에선 통일신라에서 고려시대에 이르는 기와, 토기 조각을 비롯해 청동 공양구 등을 넣은 철솥이 확인됐다. 통일신라 금동여래입상과 '영묘사'로 추정되는 글자가 적힌 기와 조각도 나왔다.

특히 철솥 내부에서 다양한 형태의 고려시대 청동 공양구와 의식구가 확인돼 눈길을 끈다.
철솥은 지름 약 65㎝, 높이 약 62㎝ 크기로 외부에 손잡이 4개가 달려 있는 형태다. 안에는 작은 기와 조각들이 섞여 있는 흙이 30㎝ 정도 차 있었고, 그 아래에서 청동 향로, 촛대, 금강저(승려의 수행 도구) 등 다양한 고려시대 불교공양구와 의식구가 나왔다.
현재 육안으로 확인되는 유물은 모두 54점이다. 일부 유물은 부식으로 철솥 바닥에 붙어 있는 상태여서 앞으로 보존처리 과정에서 더 많은 유물이 확인될 것으로 보인다.
문화재청은 이번에 수습한 청동 유물과 철솥 등이 화재나 사고 등의 비상 상황에 대비하고자 급히 한 곳에 모아 묻어둔 퇴장(退藏) 유물로 추정하고 있다. 향후 좀 더 면밀한 분석을 통해 정확한 성격을 파악할 예정이다.
문화재청 관계자는 "이처럼 청동 유물이 한꺼번에 출토된 사례는 창녕 말흘리 유적, 군위 인각사지, 서울 도봉서원(영국사지), 청주 사뇌사지(무심천변), 경주 망덕사지‧굴불사지 등에서 확인된 적이 있지만, 이번에 발굴된 유물은 그 수량이 월등히 많다"며 "앞으로 관련 연구에 중요한 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국정원, 中 업체 매일신문 등 국내 언론사 도용 가짜 사이트 포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