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기업의 첨단 기술 분야 기술력을 끌어올리기 위해 외국 기업 인수합병(M&A)을 활성화해야 한다는 의견이 제시됐다.
10일 대한상공회의소 지속성장이니셔티브(SGI)가 펴낸 '국내 기업의 첨단기술 경쟁력 제고를 위한 M&A 지원 방안' 보고서에서 이같이 밝혔다. 보고서에서는 국내 기업이 해외 기업을 인수하는 '아웃바운드 M&A는' 해외 기업으로부터의 기술 이전 효과가 크다고 분석했다.
기업 생산성 향상뿐만 아니라 국내 경제 투자, 생산, 고용 증대까지 영향을 미친다고 내다봤다.
나아가 중소·벤처기업은 해외 기업과의 M&A를 통해 글로벌 시장 진출한 뒤 중견기업으로 발돋음할 기회가 마련될 수 있다.
그러나 국내 기업이 해외에 진출하면서 기술이나 경영권 확보하기보다 그린필드형 투자가 중시되고 있다. 그린필드형 투자란 해외에 투자를 하면서 생산기지나 지점 설립 등을 중점적으로 확장하는 방식이다. 지난해 해외 투자를 진행한 국내 기업 가운데 그린필드형 투자 비중이 67%를 차지했다.
이에 따라 상의는 해외 기업의 기술을 국내 기업이 취득할 수 있도록 정부에 아웃바운드 M&A 지원 필요성을 피력했다.
특히 스타트업이 인수기업을 발굴하고 관련 법률과 회계 자문 등 추가 지원이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이밖에 미국 기술 스타트업에 대한 M&A도 적극 고려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최근 금융 불안으로 자금조달이 어려워진 유망 미국 스타트업을 비교적 저렴한 가격에 인수할 수 있을 것이란 분석에서다.
실제로 최근 국내외 M&A 시장 거래 규모가 위축되고 있다. 올해 상반기 기준 글로벌 M&A 거래 금액은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39.5% 감소했다. 국내 M&A 거래 금액도 41%나 줄었다.
김경훈 대한상의 SGI 연구위원은 "역설적으로 M&A 시장 침체로 낮아진 기업 가치는 투자자들에게 좋은 기회일 수 있다"며 "이러한 기회를 살리려면 더 적극적인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댓글 많은 뉴스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전광훈 "대선 출마하겠다"…서울 도심 곳곳은 '윤 어게인'
이재명, 민주당 충청 경선서 88.15%로 압승…김동연 2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