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 성장동력인 국가 연구개발(R&D) 예산에서 대구경북(TK)이 차지하는 비중이 계속 감소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윤석열 대통령이 국가 R&D 산업의 합리화를 강조하며 내년도 예산안의 전면 재검토를 지시한 가운데, 지역이 역점 추진하는 미래 신산업을 중심으로 대응전략을 강구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10일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소속 윤두현 국민의힘 의원(경산)이 과학기술정보통신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최근 10년간(2012~2021년) 국가 R&D 예산 비중은 경북 5위→8위, 대구 8위→9위로 각각 하락한 것으로 확인됐다.
가장 최근인 2021년의 경우 전체 R&D 예산은 26조5천791억원으로 이중 경북은 2.74%(7천271억원)로 8위를 차지했다. 이어 대구가 2.70%(7천168억원)로 9위였다.
1위는 대전으로 전체 R&D 예산의 25.66%(6조8천208억원)가 집행됐고, 2위 서울 18.35%(4조8천767억원), 3위 경기 10.57%(2조8천82억원), 4위 경남 7.38%(1조9천628억원), 5위 부산 3.76%(1조2억원), 6위 전남 3.50%(9천296억원), 7위 충북 2.88%(7천656억원)이 뒤를 이었다.
한때 비수도권 최대 R&D 메카로 불린 TK는 최근 전남, 충북 등에도 예산 규모가 뒤지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또 10위 충남 2.43%(6천455억원), 11위 세종 2.21%(5천877억원) 등이 바짝 뒤를 쫓고 있어 조만간 10위권 밖으로 밀릴 수도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김현덕 경북대 전자공학과 교수는 "대구경북은 2017년부터 R&D 예산 비중이 낮아졌다. 당시 문재인 정부가 국가 R&D 예산을 크게 늘렸음에도 미래 신사업을 중심으로 대형 프로젝트 기획 등에 적극 대응하지 못했기 때문"이라며 "반면 충북은 수도권에서 이전하는 기업들이 많았고, 전북은 새만금 지역을 중심으로 대규모 투자를 받은 덕분에 상대적으로 R&D 예산 비중이 커졌다"고 분석했다.
최근 윤석열 대통령은 국가 R&D 사업의 합리화를 주문, 정부는 사상 처음으로 30조원을 돌파한 내년 R&D 예산의 구조조정에 착수했다. 기존 '나눠먹기식 관행'을 혁파하고 미래·원천 기술 분야 투자에 집중한다는 방침이다.
이에 대구는 ▷UAM(도심항공교통) ▷반도체 ▷로봇 ▷헬스케어 ▷ABB(인공지능·빅데이터·블록체인) 등 5대 미래산업, 경북은 ▷반도체 ▷배터리(2차 전지) ▷바이오 ▷에너지 등 4대 신산업을 중심으로 R&D 예산 확보에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는 주문이 나온다.
윤두현 의원은 "대구경북의 R&D 예산이 비슷한 규모의 다른 시·도에 비해 낮은 것으로 나타나 놀랐다"며 "대구경북 R&D 투자 예산 감소는 미래 성장동력 약화로 이어질 수밖에 없는 만큼 미래 첨단분야를 위한 투자에 차질이 없도록 각별히 살피겠다"고 말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이재명, 민주당 충청 경선서 88.15%로 압승…김동연 2위
전광훈 "대선 출마하겠다"…서울 도심 곳곳은 '윤 어게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