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정부 "후쿠시마 수산물 수입금지 해제 없어…尹도 몇번 강조"

"일본 오염수 방류 시점 통보받은 것 없어…예의주시 중"

박구연 국무조정실 국무1차장이 10일 오전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방류 관련 브리핑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박구연 국무조정실 국무1차장이 10일 오전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방류 관련 브리핑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정부는 10일 일본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해양 방류 이후에도 우리 정부의 수산물 수입 금지 입장은 현행대로 유지될 것이라며 "대통령께서도 몇 번 강조하신 내용"이라고 밝혔다.

박구연 국무조정실 국무1차장은 이날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후쿠시마 오염수 일일 브리핑에서 "다른 조건이나 상황을 따질 것 없이 정부의 확고한 의지이기 때문에 그 자체를 논의하거나 검토할 대상이 아니다"며 이같이 말했다.

국제원자력기구(IAEA) 최종보고서에 후쿠시마산 수산물을 섭취해도 문제가 없다는 내용이 담겼다는 지적에 대해선 "일본산 수산물 수입 금지 조치와 어떤 인과관계도 없음을 다시 강조드린다"고 반박했다. 후쿠시마 수산물 수입 금지 조치는 지난 2011년 원전 사고 직후 이뤄진 것이기 때문에 향후 이뤄질 오염수 방류의 안전성 여부와는 별개의 문제라는 것이다.

박 차장은 "라파엘 그로시 IAEA 사무총장은 '일본 측이 오염수를 안전하게 처리해 방류하면 후쿠시마산 수산물도 오염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는데, 이 발언은 기존 후쿠시마 인근 해역이 오염되지 않았다거나 후쿠시마산 수산물을 섭취해도 괜찮다는 주장과는 전혀 다르다"고 설명했다.

IAEA 종합보고서가 1~3차 시료 분석 중 1차 분석의 결과만 가지고 쓰였다는 지적과 관련해선 ALPS(다핵종 제거설비·알프스)를 거쳐 해양 배출 직전 단계인 K4탱크 시료 분석이 1차에서 이뤄졌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IAEA 종합 보고서에 ALPS 성능 검증이 들어가지 않았다는 지적에는 "IAEA가 2020년 4월 발표한 ALPS 소위원회 관련 검토보고서에는 ALPS가 안정적이고 신뢰할 만하다는 내용이 포함돼 있다"고 했다.

일본 정부가 IAEA에 100만 유로를 제공했다는 일각의 주장에 대해선 "3주 전에 팩트 확인을 거쳐 설명드렸고, 일본 정부에서 가짜뉴스임을 확인한 바 있다"며 "추가적 팩트 없이 이렇게 주장하시는 건 국제적으로 굉장히 적절치 않은 행동"이라고 비판했다.

'오염수' 용어 문제에 대해서는 "총체적으로 오염수 전반에 대해 분석하고 평가하는 게 필요하기 때문에 ('처리수'보다는) 오염수로 부르자는 게 기본 입장"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지나치게 자의적 해석을 하거나 너무 특정 부분을 부각시켜서, 예를 들어 '핵폐수' 이런 식으로 부르는 것은 적절치 않은 것 같다"고 덧붙였다.

일본의 오염수 방류 시점에 대해서는 "정부도 정확하게 통보받거나 파악한 바는 현재까지 없다"며 "저희도 예의주시하고 있는 상황"이라고 밝혔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