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이 12일 동해상으로 대륙간탄도미사일(ICBM)을 발사했다. 정상보다 높은 고각으로 발사된 ICBM은 고도 6천㎞까지 치솟아 약 1천㎞를 비행한 후 동해상에 떨어졌다.
미군의 대북 정찰활동을 비난해 온 북한이 미국을 직접 타격할 수 있는 ICBM 역량을 과시하며 무력시위에 나선 것으로 파악된다.
합동참모본부는 "우리 군은 오늘 10시쯤 평양 일대에서 동해상으로 발사된 장거리탄도미사일 1발을 포착했다"며 "북한의 탄도미사일은 고각으로 발사돼 약 1천㎞ 비행 후 동해상에 탄착했다"고 밝혔다.
북한의 탄도미사일 발사는 지난달 15일 한미 연합·합동화력격멸훈련에 반발하며 쏜 이후 27일 만이며, ICBM 발사는 지난 4월 13일 고체연료 ICBM인 화성-18형 발사 후 90일 만이다.
합참은 북한 ICBM의 비행시간과 초고고도 등은 공개하지 않았으나, 일본 정부는 북한 ICBM이 오전 11시 13분쯤 낙하했으며 최고 고도는 6천㎞라고 밝혔다.
특히 비행시간이 74분으로, 작년 3월 24일 발사된 북한 미사일의 종전 역대 최장 시간(71분)을 넘어섰다.
일본 정부의 발표가 맞다면 이번 ICBM은 정상각도(30~45도) 발사 시에는 1만5천㎞ 이상 비행 가능할 것으로 추정된다.
이는 미국 본토 전역을 타격권에 넣을 수 있는 사거리다.
최고 고도 등으로 볼 때 이번 ICBM은 신형 고체연료인 '화성-18형'보다는 액체연료인 '화성-17형'일 가능성에 무게가 실린다. 과거 화성-17형은 6천㎞ 이상 올라간 적이 있지만, '화성-18형'은 지난 4월 시험발사 등시 정점고도가 3천㎞ 미만에서 형성된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화성-18형의 성능이 업그레이드됐을 수도 있어 한미 군 당국은 제원 등을 정밀 분석하고 있다.
이번 ICBM 발사는 미군 정찰기의 공해 상공 정찰비행을 트집 잡은 도발로 분석된다.
북한은 지난 10~11일 미군 정찰기 활동을 비난하는 담화를 세 건이나 발표하며 '충격적인 사건이 일어나지 않으리라는 담보가 없다"는 등 위협적인 메시지를 내보냈다.
댓글 많은 뉴스
'尹파면' 선고 후 퇴임한 문형배 "헌재 결정 존중해야"
'퇴임 D-1' 문형배 "관용과 자제 없이 민주주의 발전 못해" 특강
"조직 날리겠다" 文정부, 102차례 집값 통계 왜곡 드러나
이재명 "대구·경북의 아들 이재명, TK 재도약 이끌겠다"
안 "탈당해야" 김·홍 "도리아냐"…국힘 잠룡들 尹心 경계 짙어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