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경북교육청, 전국 최초로 '학교시설 수선주기' 기준 마련

건축, 토목, 기계, 전기 등 총 79개 항목 수선주기 기준 만들어
임종식 경북교육감 "효율적인 시설물 관리와 학생에 안전한 환경 제공할 것"

전국 최초로 학교시설 수선주기 기준을 마련한 경북도교육청이 구미 옥계동부중학교 체육관 외벽개선 작업을 펼치고 있는 모습. 경북교육청 제공
전국 최초로 학교시설 수선주기 기준을 마련한 경북도교육청이 구미 옥계동부중학교 체육관 외벽개선 작업을 펼치고 있는 모습. 경북교육청 제공

경북도교육청이 전국 최초로 '학교시설 수선주기 기준'을 마련했다고 14일 밝혔다.

학교시설 수선주기는 건물의 노후에 따라 교체가 필요한 시설을 대상으로 중장기 시설투자와 장기수선계획 수립 등 안정적인 예산집행과 효율적 시설물 유지·관리에 반드시 필요하다.

경북교육청은 지난 3월부터 최근 3년간 경북 516개 학교에서 진행된 학교시설 공사에 대한 이력과 전문가 토의, 문헌 분석, 조사 등을 바탕으로 총 79개 항목의 수선주기 기준을 마련했다.

주요 점검 분야는 ▷건축 분야 40종(개축, 화장실 개선, 천장, 바닥, 방수 등) ▷토목 분야 12종(옹벽, 포장, 우천통로, 배수로 등) ▷기계 분야 17종(냉·난방시설, 덕트, 보일러, 무대 기계 등) ▷전기 분야는 10종(LED, 변압기, 수배전반, 자동화재감지 등) 등이다.

앞서 수선 주기와 관련해 서울시교육청이 학교시설사업 연수를 규정한 사례는 있지만, 건축, 토목, 기계, 전기 등 분야별 수선주기 상세 기준을 마련한 것은 전국 17개 시·도교육청 중 경북이 최초다.

경북교육청은 이번 수선주기 기준 마련으로 시설 노후로 인한 학생 안전사고 예방과 지역·학교 간 시설 격차 해소를 통해 차별 없는 교육시설환경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임종식 경북교육감은 "학교 시설사업의 투명성과 효율성을 확보하려면 체계적인 수선 주기가 필요하다"며 "수선 주기에 따른 시설물의 효율적인 유지관리로 학생들에게 질 높고 안전한 교육시설 환경을 제공하겠다"고 말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