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AI 때문에…" 금융·보험 업계 고용 타격 전망

한국직업능력연구원 '산업별 인공지능 기술 충격 시나리오' 결과

지난달 10~12일 서울 삼성동 코엑스에서 열린
지난달 10~12일 서울 삼성동 코엑스에서 열린 '2023 AI EXPO KOREA(국제인공지능대전)'에 ㈜우경정보기술, YH데이타베이스, 대구경북경제자유구역청, 대구소프트웨어고 등 대구 기업·기관 4곳이 참여해 기술력을 선보였다. 매일신문DB

인공지능(AI) 기술 발전으로 금융·보험 업종의 부가가치가 많이 늘어나지만, 고용 측면에서 가장 타격을 많이 입을 것이란 전망이 나왔다.

16일 한국직업능력연구원의 '산업별 인공지능 기술 충격 시나리오 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금융 및 보험은 부가가치 증가율이 67.5%로 가장 높았다. 하지만 금융 및 보험의 고용 증가율은 -10.8%로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조사는 16개 주요 산업 부문별 전문가 102명을 대상으로 총 4가지 유형별 시나리오를 제공하는 방식으로 진행됐다. 부가가치는 상승하는 반면 고용은 감소할 것으로 예측한 전문가는 38.2%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했다.

건설은 AI 도입으로 인한 부가가치 상승률이 5.8%에 불과했다. 노동집약적인 특성을 보인 분야로 기술의 효과를 보는 데 한계가 있을 것으로 분석된다. 또 제조업 중심의 2차산업이 1·3차산업에 비해 부가가치 상승률이 높을 것으로 내다봤다.

고용 증가율의 경우 농림수산식품(-10.7%), 음식점 및 숙박업(-7%)은 낮게 나타났다. 이에 반해 전력·수도·재활용(21.3%), 기타서비스(12.9%), 운송서비스(11.7%) 등은 고용이 증가할 것으로 예측된다.

고용 증가율은 1998년부터 2021년까지 데이터를 기준으로 2030년을 기준으로 증가율을 예상한 수치다. 1차 산업의 고용 증가율은 –10.7%로 가파른 고용감소가 전망된다. 2차 산업과 3차 산업은 각각 2.7%, 2.1%의 다소 완만한 증가율을 보일 것으로 전망했다.

조성익 한국직업능력연구원 부연구위원은 "AI로 인한 충격은 산업별로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며 "AI로 인한 새로운 상품 또는 서비스 개발에 따른 수요의 변화 등 각 산업 현장의 변화에 기반한 구체적인 대응 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