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금리인상기 막대한 이윤 챙긴 국내 시중은행, 올해 사회공헌활동 비용 12.4% 늘려

하지만 신청자 크게 늘어나면서 금리인하요구권 수용률을 오히려 떨어져

지난 2021년 여름부터 시작된 금리 폭등기간에 예대마진으로 막대한 이윤을 축적한 국내 시중은행들이 올해 사회공헌활동 비용을 소폭 늘린 것으로 확인됐다. 다만 금융소비자들이 요청한 금리인하 요구에 대한 수용률은 떨어졌다.

국내 5대 시중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이 16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양경숙 민주당 의원에게 제출한 '사회공헌·금리인하요구권 수용률 현황' 자료에 따르면 이들 은행의 올해 상반기 사회공헌 지원 금액은 모두 5천315억3천만원으로 잠정 집계됐다.

지난해 같은 기간(4천727억7천만원)보다 12.4% 늘었고 이미 작년 전체 지원액(7천822억8천만원)의 68%에 이른다.

지원 부문별로 살펴보면 서민금융 부문이 1년 사이 2천973억7천만원에서 3천12억6천만원으로 1.3%, 지역사회·공익 부문은 1천98억2천만원에서 1천562억2천만원으로 42.3% 증가했다.

은행별 지원액은 ▷KB국민은행 1천399억2천만원 ▷NH농협은행 1천278억원 ▷하나은행 1천37억원 ▷신한은행 965억3천만원 ▷우리은행 635억8천만원 순이었다.

최하위인 우리은행의 사회공헌액은 1위 KB국민은행의 절반 이하인 45% 수준에 불과했다.

올해 1분기 우리은행의 순이익(8천595억원)이 KB국민은행(9천315억원)의 92%에 이르는 점을 고려하면 우리은행의 이익 대비 사회공헌액 비율이 뚜렷하게 낮은 셈이다.

특히 1분기 순이익이 우리은행보다 적은 NH농협은행(4천97억원)의 사회공헌액(1천278억원)이 우리은행의 두 배를 웃돌 정도다.

더욱이 국내 5대 시중은행 가운데 우리은행만 유일하게 올해 상반기 사회공헌액을 작년 상반기보다 줄였다.

윤석열 대통령은 지난 2월 "은행 고금리로 인해 국민 고통이 큰 만큼 수익을 어려운 국민, 자영업자, 소상공인 등에게 이른바 '상생 금융' 혜택으로 돌아갈 수 있도록 배려해야 한다"고 지적했고 이 후 금융당국도 같은 취지의 발언으로 금융권을 압박한 효과가 나타나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하지만 국내 5대 시중은행의 상반기 금리인하 요구권 수용률은 NH농협을 제외하고 모두 작년 하반기보다 낮아졌다.

금리인하 요구권은 금융소비자가 취직·승진·소득증가 등을 근거로 금리를 낮춰 달라고 은행에 요청할 수 있는 권리로, 수용률은 전체 요구(신청) 건수 대비 받아들여진 건수의 비율을 말한다.

상반기 자체 집계 결과 수용률이 가장 높은 곳은 NH농협은행(68.8%·1만3천563건 중 9천332건 수용)이었다.

하나은행만 6월 말이 아닌 3월 말까지 수용률을 가계대출(18.5%)과 기업대출(63.9%)로 나눠 제출하면서, 최저 은행의 경우 명확하게 가리기가 어려운 상황이다.

하지만 금리인하 요구의 절대다수가 가계대출에서 이뤄지는 만큼, 하나은행의 가계대출 수용률(18.5%)로 미뤄 전체 수용률도 업계 최저 수준으로 추정된다.

시중은행 관계자는 "적극적 홍보 등을 통해 금리인하 요구권 행사를 독려한 결과, 인하 조건에 맞지 않는 경우를 포함한 신청 건수가 급증하면서 상대적으로 수용률은 불가피하게 하락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KB국민은행의 경우 올해 상반기 신청 건수(6만4천716건)는 작년 같은 기간(3만3천650건)의 거의 두 배에 이른다.

양경숙 의원은 "최근 고금리로 국민 고통이 가중되고 있는 가운데, 은행들이 이익의 일부가 국민들에게 돌아갈 수 있도록, 공익 차원에서 더 적극적으로 이익을 사회에 환원할 방안을 모색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