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사설] 산림녹화 넘어 가꾸기 본격화하고 산림 총량제도 검토해야

우리나라 산의 면적당 산림량이 산림 선진국에 비해 턱없이 적어 목재로서 가치가 떨어질 뿐만 아니라 폭우 시 산사태에도 취약하다고 한다. 우리나라는 1970, 80년대 정부 주도의 치산녹화(治山綠化) 사업으로 녹화에는 빠르게 성공했다. 하지만 산림량은 1㏊당 148㎥로, 산림 선진국인 스위스와 독일의 1㏊당 321㎥의 절반에도 미치지 못한다. 특히 우리나라 산의 수목은 40년생 이하가 71%를 차지해 폭우 시 주변 토양을 지탱하는 말뚝효과와 그물효과를 비롯해 갈수 완화, 수질 정화 기능적 측면도 약하다.

수령(樹齡)이 낮아서 발생하는 문제는 앞으로 시간이 지나면서 어느 정도 해소될 수 있다. 우리나라 산림이 안고 있는 핵심적인 문제는 산림을 제대로, 계획성 있게 가꾸지 못했다는 데 있다. 우량 수림은 불량림보다 갈수기에 1㏊당 일일 2.5t의 물을 더 흘려보내 갈수를 완화하고, 물 보유 기능도 20~30%가량 높다. 나무 심기를 넘어 숲 가꾸기 사업을 본격적으로 펼쳐야 하는 까닭이다.

산림 면적이 빠르게 줄어들고 있다는 점도 문제다. 40여 년 전 우리나라 산림은 국토의 68% 정도였으나 2020년 현재 우리 나라 산림 면적은 국토의 63%에 불과하다. 전통적으로 산림 가꾸기와 산림 경영의 목적은 좋은 목재를 안정적으로 생산하는 데서 출발했다. 하지만 기후위기가 일상화되면서 산림은 목재 생산원으로서 가치뿐만 아니라 생태환경적이고 문화적인 가치가 커지고 있다. 물을 정화 및 보관하고, 갈수기에 물을 뿜어내고, 산소 생산, 온실가스 흡수 저장, 대기질 개선, 생물다양성 보전, 산림휴양, 산림치유, 열섬 완화 등 새로운 가치가 부각되는 것이다.

주택, 공장, 골프장, 태양광 건설 등 산림 훼손을 야기하는 사업에 강력한 제동 장치를 마련해야 한다. 한쪽에서 불가피하게 산림을 다른 용도로 바꾸어야 한다면 다른 쪽에서는 산림을 복원하는 '산림 총량제'도 고려할 필요가 있다. 개발은 불가피하나 개발에 따른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대책을 강구해야 한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