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담뱃값 8천원' 주장 2년 만에 또 솔솔…"OECD 평균 맞추자"

8년째 4천500원인 담뱃값을 8천원으로 올려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보건복지부와 한국건강증진개발원은 지난달 31일 전경련회관에서 '제36회 세계 금연의 날 기념식 및 포럼'을 열었다.

이날 참석한 서홍관 국립암세터 원장은 축사에서 담뱃값을 OECD(경제협력개발기구) 평균 수준으로 올려야 한다며 '8천원'을 제시한 것으로 알려졌다.

'담뱃값 8천원 인상'은 2년 전 논란을 일으킨 주제다. 2015년 1월 담뱃값을 2천500원에서 4천500원으로 인상할 당시에도 꼼수 증세라는 지적이 끊이지 않았다. 담뱃값 인상은 사회에 부정적 영향을 주는 제품에 물리는 가장 만만한 '죄악세(Sin tax)'라는 지적도 나왔다.

담뱃값은 이후에도 국민 건강을 위해 추가 인상돼야 한다는 지적을 받다가 지난 2021년 1월 '8천원 인상설'이 나오면서 논란이 됐다.

당시 보건복지부는 향후 10년간의 건강정책 추진 방향을 담은 '제5차 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을 발표했다. 여기에 흡연율을 낮추기 위해 2030년까지 담배에 건강증진부담금 인상을 추진한다는 내용이 담겼다.

기자들과 질의응답과정에서 복지부 담당자는 "담뱃값 하나당 OECD 평균은 7달러, 우리나라는 4달러 정도"라며 "10년 안에 구체적으로 증진부담금을 올릴 기회가 올 것이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담당자는 아울러 "현재는 아주 구체적으로 언제 얼마만큼 올릴지 정하고 있지 않다"고 덧붙였다.

이후 1달러에 1천100원 수준이었던 원달러 환율을 적용해 8천원 인상이 가능해졌다는 기사가 쏟아졌다. 담뱃값 인상 논란에 정부가 "추진계획이 없다"고 못 박은 뒤 잠잠해졌다.

이후에는 금연단체들이 8천원 인상을 주장했다. 세계 금연의 날인 같은 해 5월 31일 한국금연운동협의회는 '담뱃값을 OECD 평균인 8천원 이상으로 인상할 것, 담배 제조와 매매를 금지할 것' 등을 담은 금연 선언문을 발표했다.

담뱃값 경고 그림 의무화를 이끌어낸 서홍관 원장도 언론매체를 통해 치명률이 높은 폐암의 원인 중 90%가 흡연인 만큼 금연을 위해 정부가 담뱃값을 OECD 평균인 8천원 수준으로 인상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