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농식품부, 수확기 앞두고 농업분야 공공부문 인력 지원

8~10월 수확기 앞두고 채소, 과일 주산지에 인력 지원

권재한 농림축산식품부 농업혁신정책실장이 18일 열린 전국 호우 피해지역 침수 농기계 긴급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권재한 농림축산식품부 농업혁신정책실장이 18일 열린 전국 호우 피해지역 침수 농기계 긴급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농림축산식품부는 8∼10월 본격적인 농산물 수확기를 앞두고 주요 품목 주산지를 중심으로 인력 지원 대책을 추진한다고 30일 밝혔다.

농식품부는 이날 주요 채소·과일 주산지에 농작업 인력을 지원한다며 이같이 말했다.

농식품부에 따르면 수확기 인력 수요가 많은 농작업은 사과, 배 등 과일과 고추 등 노지채소 수확, 마늘과 양파 파종이며, 고용인력 수요는 4∼6월 농번기의 70∼80% 수준으로 전망된다.

이에 농식품부는 국내 인력의 경우 현재 운영 중인 농촌인력중개센터 170곳을 중심으로 인력을 집중 지원할 방침이다.

도농인력중개플랫폼 운영과 농촌 일손 돕기를 통해 공공부문 인력 공급도 확대한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농촌인력중개센터는 상반기 사업비 집행 분석과 하반기 전망을 통해 사업비 부족이 예상되는 센터에 예산을 추가 지원해 가동률을 높여 인력중개에 차질이 없도록 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도농인력중개플랫폼은 연말까지 전자근로계약 시스템을 새로 구축해 근로조건을 명확히 하고 사용자 편의성을 제고할 예정"이라며 "농촌일손돕기는 집중호우 복구상황을 감안해 농협 등 공공기관 중심으로 8월부터 집중 추진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와 함께 외국인 계절근로자는 하반기 총 3만4천614명을 배정했다.

아울러 농식품부는 공공형 계절근로제 범위를 현재 해당 시·군에서 다른 시·군으로 확대해 일시적 인력 수요에 탄력적으로 대응한다는 방침이다.

농식품부는 지방자치단체·농협과 함께 인력수급 지원 협의체(TF) 상황실을 운영하며 인력 부족 상황에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는 지원 체계를 운영할 예정이다.

권재한 농식품부 농업혁신정책실장은 "관계부처·지자체·농협 등과 긴밀하게 협력해 추석 성수품을 비롯한 농산물 생산에 차질이 발생하지 않도록 농업인력 공급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