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지난 6년 동안 극단 선택 교사 100명…절반 이상이 초등 교사

전국 각지에서 모인 교사들이 29일 서울 종로구 경복궁역 사거리 인근에서 열린 공교육 정상화를 위한 집회에 참석해 팻말을 흔들고 있다. 연합뉴스
전국 각지에서 모인 교사들이 29일 서울 종로구 경복궁역 사거리 인근에서 열린 공교육 정상화를 위한 집회에 참석해 팻말을 흔들고 있다. 연합뉴스

지난 6년 동안 초·중·고 교사 100명이 극단적 선택을 했다는 집계 결과가 나왔다. 이중 절반 이상이 초등학교 교사였다.

30일 국회 교육위원회 소속 정경희 국민의힘 의원실이 교육부로부터 취합한 자료에 따르면 2018년부터 지난 6월까지 공립 초·중·고 교원 100명이 극단 선택으로 숨졌다. 극단 선택 교사 수는 2018년(14명)에서 2021년(22명)까지 꾸준히 늘어나는 추세다.

이중 초등학교 교사가 57명으로 가장 많았고 고등학교 교사 28명, 중학교 교사 15명이 뒤를 이었다. 지난해 기준 초·중·고 전체 교사 중 초등학교 교사가 차지하는 비중이 44% 수준인 점을 감안하면 상대적으로 극단적 선택 비율이 높은 셈이다.

교육 당국이 '원인 불명'으로 분류한 70명을 뺀 나머지 30명 중 절반 이상인 16명(53.3%)가 '우울증·공황장애'를 이유로 숨졌다. 이어 '가족갈등' 4명, '신변비관'과 '질병비관' 각각 3명, '병역의무' 2명 등이었다.

학생·학교·교사 수가 가장 많은 경기 지역이 22명으로 가장 많았다. 서울(13명)·인천(3명)을 더하면 5명 중 2명인 38명이 수도권 지역에서 일하던 교사였다.

비수도권에서는 부산이 9명으로 가장 많았고 이어 경북 8명, 충남 7명, 전남·전북 각각 6명, 강원·대구·대전 각각 5명, 울산·경남 각각 4명, 세종 3명 순이었다. 광주·제주·충북교육청은 6년 간 극단 선택한 공립 초·중·고 교사가 없었다고 보고했다.

한편 서울 서이초 교사의 극단적 선택을 계기로 교육활동 침해 방지를 요구하는 교사들의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교육계에서는 숨진 교사가 생전에 학부모의 악성 민원과 학생들 간의 다툼에 시달리며 심적 고통을 겪었다는 정황을 근거로 고인이 숨진 배경에 과도한 교육활동 침해가 있었다는 의혹이 나오고 있다.

교육부는 다음달 중 학부모 악성 민원 방지 대책 등을 포함한 '교권보호 종합대책'을 마련 중이다.

※우울감 등 말하기 어려운 고민이 있거나 주변에 이런 어려움을 겪는 가족·지인이 있을 경우 자살예방 상담전화 ☎1393, 정신건강 상담전화 ☎1577-0199, 희망의 전화 ☎129, 생명의 전화 ☎1588-9191, 청소년 전화 ☎1388, 청소년 모바일 상담 '다 들어줄 개' 어플, 카카오톡 등에서 24시간 전문가의 상담을 받을 수 있습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